최근 4년간 중앙공무원 징계 1위는 교육부..중징계 1위는 문체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4년간 교육부에서 징계 받은 국가공무원이 3000명이 넘어 중앙행정기관 가운데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비례대표) 의원이 인사혁신처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4년간(2017~2020년) 국가공무원 징계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2020년까지 교육부 소속 공무원 3077명이 징계를 받아 중앙행정기관 가운데 가장 많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최근 4년간 교육부에서 징계 받은 국가공무원이 3000명이 넘어 중앙행정기관 가운데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비례대표) 의원이 인사혁신처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4년간(2017~2020년) 국가공무원 징계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2020년까지 교육부 소속 공무원 3077명이 징계를 받아 중앙행정기관 가운데 가장 많았다.
징계 인원은 교육부에 이어 △2위 경찰청(1945명) △3위 과학기술정보통신부(590명) △4위 법무부(444명) △5위 해양경찰청(321명) △6위 국세청(275명) △7위 대검찰청(219명) △8위 노동부(129명) △9위 관세청(109명) △10위 해양수산부(107명) 순이었다.
전체 인원 대비 징계 인원 비율로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2.94%로 가장 높았고, 이어 해양경찰청(2.74%), 국무총리비서실(2.56%), 해양수산부(2.53%), 외교부(2.52%), 통일부(2.49%), 문화체육관광부(2.42%), 문화재청(2.41%), 국가인권위원회(2.32%) 순이었다.
특히 전체 인원 대비 중징계 인원 비율은 문화체육관광부(1.13%)가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법제처(1.06%), 해양경찰청(1.04%), 외교부(0.99%), 방위사업청(0.95%), 통일부(0.88%), 국무총리비서실(0.85%) 등이 뒤를 이었다.
연도별 징계받은 전체 국가공무원 수는 2017년 2344명, 2018년 2057명, 2019년 1952명, 2020년 1783명으로 해마다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혼 장희진, '9세 연상 이혼남' 서장훈에 플러팅 "재혼남 더 좋아"
- 발작하며 항문서 '분홍색 액체' 쏟아져…몸 속 가득 OO 숨긴 남성
- 지인과 위장결혼시킨 후 내연녀 살해…보험 6건 가입
- 살인하고 훔친 돈으로 복권부터 산 김명현 '징역 30년' 확정
- 손연재 "아이 갖고 싶지 않아 눈물…♥남편 설득에 임신"
- '생활고' 정가은, 택시기사 됐다 "서비스정신 투철"
- '갑상선암 투병' 진태현 "남은 시간 ♥박시은에 더 집중"
- '박수홍♥' 김다예, 90㎏서 30㎏ 감량 근황…물오른 미모 [N샷]
- '판빙빙 닮은 꼴' 北 출신 김아라 "북한선 미인 아냐"
- "李 장남 결혼, 비공개라며 계좌는 왜 퍼졌냐"..나경원 "축의금 거부 어려워"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