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접종자 추가 예약률 0.5% 저조..정부 "18~49세 적극 참여 부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 18세 이상(2003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미접종자들에게 추가 예약의 기회를 제공했으나 아직은 예약률이 저조한 상황이다.
다른 연령층에 비해 일정이 뒤늦게 시작된 40대 이하는 현재 접종이 진행 중이어서 앞으로 접종률이 계속 올라갈 예정이지만 정부로서는 18∼49세를 필두로 미예약·미접종자의 추가 예약률을 최대한 높여야 하는 상황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추석후 미접종자 예약참여 기대..10월엔 미접종자 예약계획 없어"
(서울=연합뉴스) 하남직 기자 =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 18세 이상(2003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미접종자들에게 추가 예약의 기회를 제공했으나 아직은 예약률이 저조한 상황이다.
지난 18일 오후 8시부터 진행된 미접종자 추가 예약은 오는 30일 오후 6시까지 계속된다.
20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18일 오후 8시부터 이날 0시까지 추가 예약 대상 미접종자 577만7천369명 가운데 2만8천671명이 새로 예약했다. 대상자의 0.5%에 불과하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1만537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20대 4천666명, 60대 4천542명, 30대 3천925명, 40대 3천499명, 70대 924명, 10대 423명, 80세 이상 155명 등의 순이었다.
정부는 최근 전 국민 70% 1차 접종 목표를 조기에 달성한 뒤 목표치를 80%로 높여 잡았으며, 이를 위해 미접종자의 적극적인 접종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미접종자 중에서도 18∼49세의 접종률이 상승해야 1차 접종률 80% 목표 달성 시점이 앞당겨질 수 있다.
이날 0시 기준 1차 접종률은 71.1%(접종자수 3천650만5천121명)로, 50대 이상 연령층의 경우 92.1%가 1차 접종을 마쳤으나 18∼49세는 아직 73.5% 정도다.
또 접종 완료율은 43.2%(접종자수 2천216만9천798명)로, 60대 이상 접종 완료율은 연령대별로 80%를 넘었거나 80%에 육박했으나 30대 33.7%, 40대 28.9%, 18∼29세 22.1% 등으로 18∼49세 연령층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다른 연령층에 비해 일정이 뒤늦게 시작된 40대 이하는 현재 접종이 진행 중이어서 앞으로 접종률이 계속 올라갈 예정이지만 정부로서는 18∼49세를 필두로 미예약·미접종자의 추가 예약률을 최대한 높여야 하는 상황이다.
추진단은 "18∼49세 연령층 중 아직 접종을 받지 않으신 분들은 미접종자 예약 또는 '잔여 백신'을 활용한 접종을 신청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홍정익 추진단 예방접종관리팀장은 "이미 71.1%의 국민들께서 1차 접종을 받은 상황에서 현재 추석 연휴 중 미접종자 예약률은 1%에 미치지 못하지만, 추석 연휴 이후에 더욱 많은 미접종자가 접종에 참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추진단은 예정대로 오는 30일 오후 6시에 미접종자 예약을 마감할 계획이다. 18세 이상 대상자 중 아직 접종하지 못했거나 예약하지 않은 사람은 이때까지 사전예약 누리집(https://ncvr.kdca.go.kr)에서 접종 일정을 잡을 수 있다.
혼자 예약하기 어려운 고령층이나 외국인 등은 보호자가 대리 예약할 수도 있다.
홍 팀장은 "전체적인 접종 상황과 필요성을 검토해 필요하다면 다시 고려하겠지만, 지금은 10월에 다시 미접종자 예약을 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jiks79@yna.co.kr
- ☞ 여친과 성행위한 중학생 성폭력범 될 뻔…법원 "징계 취소"
- ☞ 가장 많이 압수된 짝퉁 상표는 ○○…올해 1∼7월 51억원
- ☞ 미 '베이비샤워'에서 선물 놓고 다투다 총격…3명 부상
- ☞ '국민' 아닌 외국인도 코로나 국민지원금 받는다?
- ☞ 장제원 아들, 무면허 운전·경찰관 폭행 혐의로 체포
- ☞ 중국서 또 전기자전거 폭발 추정 화재…5명 사망
- ☞ 람보르기니가 업무용?…법인세 탈루 통로 된 슈퍼카
- ☞ 가정집 냉동고서 '무게 160kg' 호랑이 사체 나와
- ☞ 광주 아파트서 몸 묶인 여성 시신 발견…용의자 긴급체포
- ☞ 北김정은 대역 의혹 제기돼…무엇이 달라졌길래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북한서 성격차이로 이혼하면 노동형"…탈북민 증언 | 연합뉴스
- '아우슈비츠 호화생활' 나치 사령관 저택 80년만에 공개 | 연합뉴스
- '큰손' 장영자 또 철창행…154억원 위조수표 사용 혐의 | 연합뉴스
- 러 파병 북한군 가족사진에 남한서 인기끈 '개죽이' 포토샵 | 연합뉴스
- '마약 자수' 방송인 김나정 검찰 송치…"강제 흡입 입증 안돼" | 연합뉴스
- 태국 동성결혼 합법화 첫날 1천800여쌍 결혼 행렬 | 연합뉴스
- '범죄도시2' 환전소 살인·필리핀 납치 주범 인도…국내 단죄 | 연합뉴스
- 234명 성착취 '자경단' 총책 검찰 넘겨져…질문에 묵묵부답 | 연합뉴스
- 피 묻은 족적 주인은…농민회간사 살해 혐의 60대 무기징역 구형 | 연합뉴스
- 동거녀 살해 후 16년간 시멘트 암매장 50대, 징역 14년 선고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