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밀 공간' 엘리베이터, '비접촉 기술'로 바이러스 전파 막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랜 시간 이동 속도를 기술력의 척도로 여겼던 엘리베이터 산업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이후 엘리베이터 내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도입된 엘리베이터도 시장에 등장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버튼 대신 안면인식..불필요 접촉 막는 기술 탑재
자율주행로봇 도입 움직임.."여러 기술 시도할 것"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오랜 시간 이동 속도를 기술력의 척도로 여겼던 엘리베이터 산업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이후 엘리베이터 내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도입된 엘리베이터도 시장에 등장했다.
20일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해 엘리베이터 내 바이러스 전파 차단 기술 관련 특허출원 건수는 2019년보다 6배 이상 증가했다. 최근 10년(2010~2019년)동안 관련 특허출원 건수는 연평균 15건에 그쳤지만,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유행했던 지난해엔 114건으로 크게 늘었다.
엘리베이터 내 공간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전파가 쉽게 일어나는 환경인 밀폐·밀접·밀집 등 대표적인 ‘3밀(密)’ 공간으로 꼽히자 이를 새로운 기술로 극복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난 셈이다. 이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이들의 불안감이 그만큼 커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업계 1위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난해 일찌감치 접촉 없이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고 가려는 층을 입력할 수 있는 ‘모션 콜 버튼’을 개발해 제품에 적용하고 있다. 또 올해 초엔 적외선(IR) 센서 기술을 활용해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목적 층을 입력할 수 있는 비접촉 버튼 ‘에어 터치’(Air Touch)를 선보였다.
최근 열린 ‘2021 한국국제승강기엑스포’에선 안면 기능 인식을 적용해 이용자가 열림 버튼이나 층수 버튼을 따로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움직이는 엘리베이터도 공개했다. 이용자가 미리 얼굴을 인식해두면 엘리베이터가 스스로 이를 인식한 뒤 사전에 지정해놓은 층으로 움직인다.
오티스엘리베이터는 이용자들이 불필요한 접촉을 하지 않도록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는 블루투스 기술을 탑재한 엘리베이터를 선보이고 있다. 또 비접촉식 버튼·항균 발광 다이오드(LED) 램프·항균 패널 등으로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고 위생적인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방안을 내놨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최대한 타인과의 접촉을 줄이려는 문화가 자리 잡으면서 엘리베이터에도 언택트(Untact) 기술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면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기술을 시작으로 여러 분야에서 엘리베이터의 변화를 꾀하려는 업계의 다양한 시도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순엽 (soon@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단독]"연봉 천만원 인상·자사주 달라"..삼성전자 노조 요구안 '논란'
- 김범수 개인회사 자녀들 퇴사…"인재양성으로 사업목적도 바꿀 것"
- "월 500만원 벌고 집 있는 남자"…39세女 요구에 커플매니저 '분노'
- "안전벨트 안 맸네?"…오픈카 굉음 후 여친 튕겨나갔다
- 개그맨 김종국 子, 사기 혐의 피소…"집 나가 의절한 상태"
- [단독]SK 이어 롯데도 중고차 `노크`…대기업 진출 현실화 임박
- "겸허히 받아들여"…프로포폴 실형 면한 하정우, 향후 행보는 [종합]
- '돈나무 언니' 캐시 우드 “비트코인·테슬라로 막대한 수익 얻을 것"
- '尹 장모 대응문건' 의혹에 추미애 "대검이 장모 변호인 역할 한 셈"
- 文대통령, 퇴임 후 '캐스퍼' 탄다.. ‘광주형 일자리 SUV’ 예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