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경영성과에 도움 되지만 자금조달 어려워 도입에 난항"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공공·안전부문 관련 기관 10곳 중 3곳가량이 인공지능(AI)을 사용하고 있지만, 아직 대다수 기관이 자금 조달 문제로 AI를 도입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공공·안전 부문에서 AI를 도입한 기관은 주로 머신러닝(21.9%)과 언어지능(21.9%) 등의 기술을 사용했다.
다만 조사에 응한 공공·안전기관 76곳 중 42.1%는 AI를 도입하기 힘든 이유로 공공·외부 자금 조달의 어려움을 꼽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정윤주 기자 = 공공·안전부문 관련 기관 10곳 중 3곳가량이 인공지능(AI)을 사용하고 있지만, 아직 대다수 기관이 자금 조달 문제로 AI를 도입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 따르면 종사자 300인 미만 37개 기관 가운데 11%(4개 기관)와 300인 이상 39개 기관 가운데 36%(14개 기관)는 AI를 이미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기관 대부분이 AI가 성과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판단했고, AI 추가 도입을 희망했다.
공공·안전 부문에서 AI를 도입한 기관은 주로 머신러닝(21.9%)과 언어지능(21.9%) 등의 기술을 사용했다. 이들 기관은 주로 민원이나 안전·보안, 정보제공·통계분석 등의 용도로 AI를 활용했다.
AI를 가장 많이 활용한 서비스는 챗봇(14%)이나 안전·돌봄 서비스(14%) 등이었다.
고객센터(11%), 보안(11%), 무인민원(9%) 등에 AI를 활용한 기관은 그 뒤를 이었다.
도입 기관 중 88.9%는 AI 도입이 경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다.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답한 기관은 한 곳도 없었다.
이미 AI를 도입해 활용하는 기관 중 88.9%도 AI를 계속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했다.
300인 이상 종사자를 보유한 AI 활용 기관 중 78.6%는 AI를 추가로 도입하겠다는 의향을 밝혔다.
아직 AI를 도입하지 않은 미도입 기관 58곳 중 41.4%도 AI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했다.
다만 조사에 응한 공공·안전기관 76곳 중 42.1%는 AI를 도입하기 힘든 이유로 공공·외부 자금 조달의 어려움을 꼽았다.
AI로 인한 사고 책임 소재 불명확성(34.2%)과 관계 법령 미비(34.2%) 등도 AI를 도입하기 어려운 이유로 선정됐다.
jungle@yna.co.kr
- ☞ 미 '베이비샤워'에서 선물 놓고 다투다 총격…3명 부상
- ☞ 람보르기니가 업무용?…법인세 탈루 통로 된 슈퍼카
- ☞ 장제원 아들, 무면허 운전·경찰관 폭행 혐의로 체포
- ☞ 자영업자 또 극단 선택…실종 3개월 만에 야산서 발견
- ☞ 가정집 냉동고서 '무게 160kg' 호랑이 사체 나와
- ☞ 퇴근길 지하철 방송에 시민들 오열…"데이트폭력에 가족이 사망"
- ☞ 광주 아파트서 몸 묶인 여성 시신 발견…용의자 긴급체포
- ☞ 北김정은 대역 의혹 제기돼…무엇이 달라졌길래
- ☞ 18만대 이상 팔렸다는데…무조건 퇴출이 답일까?
- ☞ 두테르테와 맞선 필리핀 복싱 영웅 파키아오 대선 출마 선언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대통령 투표도 그냥 하는데 이장 투표에 250만원?
- '욕구 거부→살해' 어느 사이코패스 상습살인범의 '살인 공식'
- 동성애 금지 두바이서 비욘세 300억원 공연…성소수자들 비판
- 폭설로 항공기 결항돼 출근 못하면 연차 안 쓰고도 쉴수 있을까
- 美 방송인 제이 레노, 얼굴 화상 이어 오토바이 사고 골절상
- "딴 남자 사귀나" 이혼한 아내 폭행·감금, 218회나 문자·전화
- 빙속 김민석, 벌금 800만원 구형…동계 올림픽 출전 '빨간불'
- '사랑 호르몬' 옥시토신 효과 '글쎄'…40년 정설 '흔들'
- '떼강도 알바'에 일본 발칵…"일당 1천만원" SNS로 유혹
- 강간 범행 후 여성으로 성전환…남·여 구치소 중 어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