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추석 선물도 온라인으로..한우·홍삼·곶감 인기

고은지 2021. 9. 20. 05: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명절 선물을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석 선물을 주려는 대상은 가족의 비중이 커졌고 품목은 한우, 홍삼, 곶감 등이 인기가 있었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농정원)은 온라인 소셜데이터와 검색 트렌드 데이터를 통해 조사한 결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최근 명절 선물 경향은 온라인 구매와 가족 중심으로 변화했다고 20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구매 늘면서 포장·배송 중시..집에서 즐길 전통주도 관심
'몸이 가지 못하니 택배라도' (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추석 연휴를 하루 앞둔 17일 서울 서초구 고속버스터미널에서 관계자들이 각종 추석 선물이 담긴 택배 상자를 나르고 있다. 2021.9.17 saba@yna.co.kr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명절 선물을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석 선물을 주려는 대상은 가족의 비중이 커졌고 품목은 한우, 홍삼, 곶감 등이 인기가 있었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농정원)은 온라인 소셜데이터와 검색 트렌드 데이터를 통해 조사한 결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최근 명절 선물 경향은 온라인 구매와 가족 중심으로 변화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2018∼2021년 설·추석 45일 전부터 명절 당일(올해는 추석 45일 전부터 27일 전)까지 소셜데이터와 네이버 데이터랩 키워드 검색지수를 분석해 이뤄졌다.

명절 선물 구매 시기로는 2∼3주 전이라는 응답이 2018년 추석 36.5%에서 2019년 추석 38.7%, 2020년 추석 45.3%, 올해 설 46.0%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1주 전에 선물을 산다는 응답률은 38.5%에서 34.8%, 29.4%로 줄었다가 올해 설 26.7%로 소폭 늘었다.

구매 장소는 온라인 쇼핑몰이 꾸준히 늘었고, 라이브커머스·홈쇼핑 등이 온라인 채널의 새로운 키워드로 등장했다.

온라인 채널 언급 비중은 지난해 설 38.9%에서 지난해 추석 41.1%, 올해 설 45.5%로 높아졌다.

키워드 검색량은 2019년 추석 대비 2020년 추석 기준으로 라이브커머스는 4.9배, 홈쇼핑은 2.7배 많아졌다.

소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구매 품목 언급량은 농산물·축산물 등 신선식품, 구체적으로 축산물은 한우, 농산물은 곶감·홍삼·도라지·과일바구니가 많았다.

지난해 추석 기준 품목별 언급량은 한우 1만891건, 홍삼 1만805건, 곶감 8천190건, 도라지 7천797건, 과일바구니 6천834건이었다.

2019년 추석 대비 지난해 추석의 품목별 언급량 증가율은 곶감 439.2%, 도라지 53.3%, 과일바구니 43.8%, 홍삼 37.1%, 한우 16.6%로 집계됐다.

온라인 구매가 늘면서 명절선물을 살 때 포장과 배송, 구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올해 추석 키워드 언급량은 포장이 5천631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가격 4천822건, 배송 4천46건, 예약 3천963건 등의 순이었다.

구매 대상은 직계가족과 지인의 비중이 커졌다.

가족 언급 비중은 지난해 추석 38.3%에서 올해 설 43.6%로, 시댁과 처가는 11.5%에서 13.9%, 지인과 동료는 6.5%에서 7.1%로 각각 늘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만남이 어려워지면서 꼭 찾아봬야 하는 부모님과 가까운 주변 사람을 중심으로 선물을 고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외에도 명절 선물에 대한 관심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커졌고, 신선식품 외에 전통주, 커피류, 한과류 등의 검색량도 과거보다 늘었다.

농정원은 "코로나19로 인해 외부에서 만남과 모임이 제한됨에 따라 가정에서 편하게 즐길 수 있는 전통주 등 주류와 커피류를 선물로 주려는 경향이 나타났다"며 "음료와 함께 곁들일 수 있는 한과류, 견과류에 대한 관심도 함께 커졌다"고 설명했다.

eun@yna.co.kr

☞ 장제원 아들, 무면허 운전·경찰관 폭행 혐의로 체포
☞ 자영업자 또 극단 선택…실종 3개월 만에 야산서 발견
☞ 가정집 냉동고서 '무게 160kg' 호랑이 사체 나와
☞ 퇴근길 지하철 방송에 시민들 오열…"데이트폭력에 가족이 사망"
☞ 광주 아파트서 몸 묶인 여성 시신 발견…용의자 긴급체포
☞ 北김정은 대역 의혹 제기돼…무엇이 달라졌길래
☞ 18만대 이상 팔렸다는데…무조건 퇴출이 답일까?
☞ 두테르테와 맞선 필리핀 복싱 영웅 파키아오 대선 출마 선언
☞ "12억 배상"…부모 허락없이 여학생 머리카락 자른 학교 '혼쭐'
☞ 추석 맞아 고향 찾은 부부, 노모와 함께 숨진 채 발견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