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규제 강화에 '제2 한한령' 우려..K-뷰티 긴장

최지윤 2021. 9. 20. 03: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화장품업계가 중국 정부의 연예인 규제 강화에 긴장하고 있다.

물론 일각에서는 현재 중국 정부가 소비 진작을 유도하고 있어서 광군제 때 플랫폼 규제 잣대를 들이대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조미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정부의 한국 연예인·콘텐츠 규제로 인해 화장품 업체들이 영향을 받았던 것은 사드(THADD) 때 이미 겪은 이슈"라며 "한류 열풍과 국내 화장품 판매 사이의 상관관계가 과거와 같이 높지는 않은 상황"이라고 짚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최지윤 기자 = 국내 화장품업계가 중국 정부의 연예인 규제 강화에 긴장하고 있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데다가 한류 모델을 주로 기용해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제2의 한한령'(限韓令·중국 내 한류 제한령)이 일어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최근 시진핑 중국 주석은 '공동부유정책'을 내놨다. 중국은 덩샤오핑이 집권한 1978년부터 개혁개방 정책을 펼쳤지만, 시 주석은 성장보다 함께 잘 사는 '분배'로 경제정책 방향을 전환했다. 지난달 27일 '무질서한 팬덤에 대한 관리 강화 방안'을 발표하고 중국은 물론 한국 연예인·콘텐츠 관련 강도 높은 규제를 시작했다. 알리바바를 비롯해 텐센트, 메이퇀 등 중국 플랫폼 제재도 강화하고 있다.

중국 팬들은 그룹 '방탄소년단'(BTS) 지민 생일 이벤트를 진행했다가 중국 당국 제재를 받기도 했다. 웨이보(중국판 트위터) 지민 팬클럽은 10월13일 지민 생일을 한 달 여 앞두고 제주항공 비행기 한 대를 지민 사진으로 도배했다. 하지만 웨이보로부터 '60일간 계정 금지' 통보를 받고 생일 이벤트 관련 게시물도 삭제됐다. 그룹 '트와이스' 쯔위 웨이보 팬클럽에도 제재를 가했다. 팬클럽 명칭인 '쯔위바'(周子瑜吧_TZUYUbar)에서 카페나 모임을 의미하는 바(bar)를 삭제하라는 내용의 공지를 받았다.

한국 연예인 출연 광고 등에 제약이 생길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후 대부분의 화장품 기업들이 디지털화를 진행하고 있는데, 중국 플랫폼 규제로 마케팅 활동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11월 열리는 중국 최대 온라인 행사인 '광군제' 매출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일각에서는 현재 중국 정부가 소비 진작을 유도하고 있어서 광군제 때 플랫폼 규제 잣대를 들이대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조미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정부의 한국 연예인·콘텐츠 규제로 인해 화장품 업체들이 영향을 받았던 것은 사드(THADD) 때 이미 겪은 이슈"라며 "한류 열풍과 국내 화장품 판매 사이의 상관관계가 과거와 같이 높지는 않은 상황"이라고 짚었다.

조 연구원은 "3분기는 계절적으로도 비수기일 뿐만 아니라 외부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전반적으로 실적 기대감은 이미 낮아진 상태"라며 "중국 정부의 소비 진작 방향성은 유효하기 때문에 가장 큰 소비 행사인 광군제 규제는 과도하다고 판단된다. 외부 환경이 긍정적이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화장품 업체들이 4분기에는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lain@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