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린 임금 나중에 줄테니 합의부터"..임금체불 '외상' 해결 늘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번 정부 들어 임금체불을 저지른 사업주가 처별을 면하기 위해 근로자와 '외상 합의'부터 하는 경우가 늘어났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9일 김웅 국민의힘 국회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연도별 임금체불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임금체불이 해결된 '청산액' 비중은 2017년 13.9%에서 지난해 11.4%까지 줄어들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가 사업주에 대한 고소를 취하하는 방식으로 해결된 체불임금 비중도 크게 크게 늘어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번 정부 들어 임금체불을 저지른 사업주가 처별을 면하기 위해 근로자와 '외상 합의'부터 하는 경우가 늘어났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9일 김웅 국민의힘 국회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연도별 임금체불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임금체불이 해결된 '청산액' 비중은 2017년 13.9%에서 지난해 11.4%까지 줄어들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가 사업주에 대한 고소를 취하하는 방식으로 해결된 체불임금 비중도 크게 크게 늘어났다.
임금체불은 형사처벌 대상이지만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으면 사건이 종결되는 '반의사불벌죄'다. 고용부는 이런 방식으로 사건이 종결되는 경우를 '행정종결'로 분류한다. 그런데 총 체불임금 중 행정종결의 비중은 2017년 32.3%에서 지난해 39.2%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총 체불임금의 40% 가량은 임금을 제대로 지급 받는 '청산'이 아니라 '고소 취하'로 마무리된 셈이라는 지적이다.
김 의원은 "사업주가 밀린 임금을 나중에 돌려주겠다는 '외상합의'를 하는 경우 피해 근로자가 마지못해 응하는 경우가 여전히 많다"며 "끝까지 체불을 청산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 들어 매년 체불 피해자 수가 약 30만~35만 명 사이에서 꾸준히 나오고 있고 체불금액도 늘었지만, 고용부의 역할로 사건이 해결되는 비중은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한편 체불금액은 지난해 기준 1조 5830억 원으로 2017년 1조 3810억 원에 비해 2019억 원 증가했다.
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 최근 5년간 임금체불로 인한 피해 노동자 숫자는 146만6631명이며, 체불금액도 약 7조1603억 원으로 나타났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s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추석 이후 더 떨어진다" 공포…바이오주 계속 들고 가도 될까
- "갈아타기 힘들다"…아이폰13 "혁신없다" 혹평에도 인기 이유
- 김종국 "머리 올린다" 언급에 이성경 "그 표현 안써요"…왜?
- "이 정도 일줄은…" 일본서 '인기 폭발'한 한국 슈퍼스타[김동욱의 하이컬처]
- "정력에 좋다더니…" 160kg 호랑이 사체, 베트남 가정집서 발견
- 제시 "야한 옷 입지 말라고? 싸이 말 안 들어"…고삐 풀린 입담, 시청자 무아지경 ('SNL') [종합]
- '한의사♥' 장영란, "생일상을 2개나" 시부모가 차려준 진수성찬에 "이쁜짓 할게요" [TEN★]
- '외식사업가♥' 이시영, 명품 G사·P사→대기업 C사 추석 선물 공세에 "생일 같다" [TEN★]
- 전소민 연애사 다 아는 '런닝맨' 멤버들, 과거 폭로…"보고 있니?"
- [인터뷰] 유환·차우민 "추석 보름달 보며 '플로리다 반점' 대박 빌려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