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트머니] 렌터카 회사에게 금리 인상이 치명적인 이유 [2021년 반기 보고서]

SBSBiz 2021. 9. 19. 09:03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렌털 비즈니스의 본질은 금융업, 영익보다 금리가 중요한 이유
■ 중고차 시장 성장으로 매출↑
■ 금융업 성향 커 부채비율 포인트
■ 경쟁 과열 시 매출 유지 어려울 전망

Q. 롯데렌탈, 어떤 회사인가요?

롯데렌탈은 차량 렌털, 중고차를 주 사업으로 삼는 기업입니다. 매출은 반기 기준으로 1조1971억원입니다. 2020년 온기가 2조2500억원이었기 때문에 지난해와 비교해봐도 절반 이상을 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차량 렌털과 중고차가 전체의 91%를 차지하고 가전 등 기타 렌털, 오토리스, 할부 금융이 나머지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공유 경제 확산으로 카셰어링 등이 성행해 렌털 업계 자체는 크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롯데렌탈은 시장 1위 사업자지만 최근에는 점유율이 조금씩 떨어지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22%였는데 2021년 2분기에는 21%를 기록했습니다. 2위 업체는 SK네트웍스와 SK렌터카를 같이 보셔야 하는데요. 각각 6.4%, 12.7%로 합치면 19.1%의 점유율입니다. 롯데렌탈과 2.5% 차이라, 턱밑까지 쫓아왔다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Q. 롯데렌탈의 영업이익에도 좋은 영향을 줬겠군요

그렇습니다. 영업이익이 반기 기준으로 1103억원이거든요. 2020년 온기가 1600억원이었으니 큰 폭으로 좋아진 거죠. 다만 렌털사를 보실 때는 영업이익보다는 당기순이익, 아니면 법인세비용차감전 순손익을 보시는 게 좋습니다. 저는 렌털사가 사실상 자동차를 매개로 한 금융업이라는 생각이 들거든요. 롯데렌탈의 금융손익을 보면 마이너스 452억원입니다. 왜냐하면 자동차를 살 때 자기 돈으로 안 사고, 빌려서 사니까요. 그러니까 아무래도 차익금 규모가 많이 커지고, 금융비용도 늘어나는 거죠. 이어 이번 당기순이익은 463억원입니다. 지난해 온기로 415억원이었으니까 많이 좋아지긴 했죠. 그런데 보시면 반기순이익과 금융비용의 규모가 거의 비슷하거든요. 돈을 벌면 반은 이자비용으로 나간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요.

Q. 그럼 부채비율도 눈여겨봐야 할 포인트겠네요?

일단은 부채비율, 차입금 및 채권 규모가 중요합니다. 여기에 대해 이자율이 올라가거나 떨어졌을 때 노출되는 정도를 주목해야 될 것 같아요. 만약 이자율이 오르면 당장 들고 있는 차입금은 아무래도 싸게 빌렸을 테니까, 단기적인 혜택은 있지만 장기적으로 이자 비용이 과도하게 늘어날 수도 있잖아요. 그러니 단기적으론 호재지만 장기적으로 악재가 되는 거고요. 금융자산 같은 경우는 이자율이 올라가면 단기적으론 악재지만 장기적으로는 호재가 될 수도 있는 거니까 두 개의 총량을 비교해야 된다는 거예요. 롯데렌탈은 지금 채권보다 채무가 훨씬 많아요. 부채 비율이 반기 기준으로 600%가 넘거든요. 그러다 보니 이런 기업은 기존 이자율이 올라가는 게 악재겠죠.

Q. 요즘 중고차 가격이 오르고 있는데, 영향은 없었나요?

감사 보고서를 보면 영업비용이 나와있는데, 여기에 중고차 판매 원가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이걸 살펴보면 중고차를 사 오는 비용이 매가 대비 떨어졌다고 나와있는데요. 쉽게 말하면 싸게 사 와서 비싸게 팔고 있다는 겁니다. 요새는 중고차 매매 자체가 호황이니까요. 또 롯데렌탈은 중고차 시장에서 자사 물량 비율이 87% 정도 돼요. 렌트해 줬던 걸 중고차로 팔고 있는 거죠. 이건 약점일 수도 있고 강점일 수도 있는데요. 자사 물량이 대부분이라는 건 중고차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는 거예요. 본인들이 판매 채널 자체를 크게 갖고 있다 보니까, 많은 차를 산다고 하더라도 처분에 있어서 큰 어려움이 없다는 거죠.

Q. 현재 주가는 어떻게 보시나요?

롯데렌탈 주가는 SK와 많이 비교하는데, 다소 오버밸류 된 감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전체 총 차 대수로 따지면 두 배 남짓인데 너무 차이가 많이 나더라고요. 앞으로도 회사가 성장하려면 계속 돈을 빌려 차를 사야 되고, 서비스를 해야 되는데 SK도 가만히 있지는 않겠죠. 그러다 시장 경쟁이 과열되면 마진율이 떨어질 거고, 차익 이자는 올라갈 테니 결국 장기적으로 봤을 땐 이익률이 안 좋아질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반기 영업이익률은 굉장히 좋았지만 이게 장기적으로 이어질지에 대해서는 불안함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돈 세는 남자의 기업분석 '카운트머니' [네이버TV]

경제를 실험한다~ '머니랩' [네이버TV]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