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세자가 불복해 돌려준 세금, 지난해 1조8천억원

차지연 2021. 9. 19. 08: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걷었다가 납세자가 불복해 다시 돌려준 세금이 지난해 1조8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실이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불복' 사유에 따른 과오납 환급금은 1조8천37억원이었다.

불복 사유를 포함한 과오납 환급금은 지난해 총 6조9천352억원으로 집계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오납 환급금 6조9천억원, 국세환급금은 총 78조4천억원
국세청 로고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차지연 기자 = 정부가 걷었다가 납세자가 불복해 다시 돌려준 세금이 지난해 1조8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실이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불복' 사유에 따른 과오납 환급금은 1조8천37억원이었다.

불복에 따른 환급금은 지난 2016년 1조6천655억원에서 2017년 2조2천892억원, 2018년 2조3천195억원으로 늘었다가 2019년 1조1천770억원으로 줄었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53.2% 다시 증가했다.

불복 사유를 포함한 과오납 환급금은 지난해 총 6조9천352억원으로 집계됐다. 과오납 환급금은 세무당국이 세금을 너무 많이 매겼거나 납세자가 세금을 잘못 납부해 발생한다.

과오납 환급금은 2016년 4조6천543억원, 2017년 5조5천569억원, 2018년 7조4천337억원으로 3년 연속 증가하다가 2019년 4조2천565억원으로 감소했고, 2020년 다시 증가했다.

지난해 과오납 환급금 중 불복 외에 직권경정에 따른 환급금은 3천860억원, 경정청구에 따른 환급금은 3조9천995억원, 착오·이중납부에 따른 환급금은 7천460억원이었다.

과오납이 아닌 연말정산, 부가가치세 환급, 각종 감면 등 세법에 의한 환급금은 지난해 71조4천552억원이었다.

최근 5년 중 지난해가 세법에 의한 환급금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법에 의한 환급금은 2016년과 2017년에는 50조원대,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60조원대였다.

과오납 환급금과 세법에 의한 환급금을 합친 국세환급금 총액은 지난해 78조3천904억원이었다. 국세환급금 총액도 최근 5년 중 지난해가 가장 많았다.

charge@yna.co.kr

☞ "가족이 데이트 폭력으로 사망"…퇴근길 시민들 울린 지하철방송
☞ 추석 맞아 고향 찾은 부부, 노모와 함께 숨진 채 발견
☞ 국가대표 A '몸캠 피싱 피해' 정황…SNS로 영상 퍼져
☞ "12억 배상해라"…부모 허락없이 여학생 머리카락 자른 학교 '혼쭐'
☞ 외국에서 온 소포 개봉하니 깜짝… 거미가 우글우글
☞ '오케이 광자매' 고원희 "막장의 신기원? 고전은 더해요"
☞ 광주 아파트서 몸 묶인 여성 시신 발견…용의자 긴급체포
☞ 고교생이 교실서 여교사 5명 치마 속 '몰카'
☞ "731부대원, 세균실험 자료로 2차대전 후 박사 논문 통과"
☞ '다큐 촬영중 자백' 미 갑부, 21년만에 친구 살해로 유죄 평결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