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와이] 우리나라 세계 7번째 SLBM 보유국?

강정규 2021. 9. 19. 06:1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지난 15일, 우리 군은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SLBM 시험 발사에 성공한 뒤, 세계에서 7번째로 이룬 쾌거라고 밝혔습니다.

지난 2015년부터 SLBM을 쏘아 올렸던 북한은 빼놓고 우리가 먼저 개발했다고 주장한 건데, 근거는 뭘까요?

팩트와이, 강정규 기자입니다.

[기자]

3천 톤급 잠수함이 어른거리는 바다를 뚫고, SLBM이 하늘로 솟구쳐 오릅니다.

[부승찬 / 국방부 대변인 (지난 15일) :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7번째로 SLBM 잠수함 발사에 성공한 국가가 되었습니다.]

▲ SLBM 개발 / 세계 7번째?

우리 군이 밝힌 7번째, 미국·러시아·중국·영국·프랑스 그리고 인도 다음이라는 뜻입니다.

지난 2015년부터 SLBM을 쏘아 올렸던 북한보다 우리가 먼저라는 겁니다.

북한이 수중 바지선에서 시험 발사한 건 확인되지만, 실제 잠수함에 탑재해 쐈는지는 불분명하다는 게 군 당국의 설명입니다.

그러나 2016년 8월 북한은 잠수함에서 SLBM을 발사했다고 분명히 밝히며, 관련 영상도 공개했습니다.

[신종우 / 한국국방안보포럼 전문연구위원 : 북한이 SLBM 개발을 진행하면서 발사 시스템을 개선해 나간 흔적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함교 상단에 발사관이 기울여 있는 모습과 콜드론치 가스 배출구 형상을 볼 때 잠수함에서 발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발사할 수 있는 SLBM이 단 1발뿐이어서 정식 무기 체계로 보기 어렵고,

3발 이상 탑재할 수 있는 신형 잠수함은 아직 전력화하지 못했습니다.

[문근식 / 전 핵잠수함 개발사업단장 : 수직발사관 6발을 장착한 도산안창호함(3천톤급잠수함)에서 최종 목표까지 발사에 성공했기 때문에… 이런 차원에서 북한보다 앞서 있다고 평가할 수 있는 거죠.]

▲ 南 SLBM / 北 앞질렀다?

우리가 개발한 SLBM도 결정적인 한계가 있습니다.

SLBM은 냉전 시대 은밀한 핵 보복 공격을 위해 고안된 무기인데, 비핵 국가인 우리는 핵탄두를 탑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현무-2B를 개조 해 만든 우리 SLBM의 탄두 중량은 최대 1톤,

북한의 6차 핵실험과 같은 폭발력을 내려면 적어도 5만 발이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양욱 / 한남대 국방전략대학원 겸임교수 : 우리 SLBM의 경우 사실 건물하나 무너뜨리는 것도 불가능해요. 차라리 잠수함발사 순항미사일 (SLCM)을 굉장히 여러 개 보유하고 있다면…]

앞서 SLBM을 전력화한 6개 나라는 모두 핵보유국.

우리나라가 7번째인지 8번째인지 몰라도 재래식 탄두 SLBM을 운용하는 첫 번째 사례인 건 분명해 보입니다.

YTN 강정규입니다.

YTN 강정규 (live@ytn.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및 예방접종 현황을 확인하세요.

연예인 A씨와 유튜버의 싸움? 궁금하다면 [웹툰뉴스]

깔끔하게 훑어주는 세상의 이슈 [와이퍼]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