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수, G20 농업장관회의서 '지속가능한 식품시스템 전환' 강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이달 17일부터 18일까지 열린 'G20 농업장관회의'에 영상으로 참석해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해 더 건강하고 공평하며 지속 가능한 식품시스템으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의장인 이탈리아 스테파노 파투아넬리 농림부 장관은 개회사를 통해 G20 농업장관들이 사람, 환경 및 우리 모두의 공동 번영을 위한 농업과 식품시스템의 달성을 위해 실질적이고 꾸준한 정책을 추진해야 함을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종=뉴스1) 박기락 기자 =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이달 17일부터 18일까지 열린 'G20 농업장관회의'에 영상으로 참석해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해 더 건강하고 공평하며 지속 가능한 식품시스템으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이번 'G20 농업장관회의'는 농식품 시스템의 지속가능성(the sustainability of food systems)’을 주제로 열렸다. 올해 의장국인 이탈리아는 이번 회의를 대면 및 영상을 병행 방식으로 주재했으며 차기 의장국인 인도네시아를 비롯해 미국, 중국, 프랑스 등 G20 농업장관 및 세계은행(WB),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노동기구(ILO) 등 국제기구 고위급 대표가 참석했다.
의장인 이탈리아 스테파노 파투아넬리 농림부 장관은 개회사를 통해 G20 농업장관들이 사람, 환경 및 우리 모두의 공동 번영을 위한 농업과 식품시스템의 달성을 위해 실질적이고 꾸준한 정책을 추진해야 함을 강조했다.
이틀간 5개의 세션으로 진행된 회의에서는 수석대표들이 농식품 분야의 지속가능성 달성을 위한 각 회원국의 노력, 기아 종식을 위한 협력, 세계 보건 위기 중 지속가능한 농업의 미래 방향 등을 논의했다.
이들은 코로나19, 기후 위기 등에 대응한 농업과 식품시스템의 회복력 강화를 위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취약계층에 대한 포용적 정책 수립, 미래 지향적 농식품의 디지털 기회 활용 등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나눴다.
또 회의에서 농식품시스템의 경제적 효율성, 환경적 건전성, 사회적 공정성을 위해 G20 회원국의 단호한 행동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각국의 관련 정책 방향을 소개했다.
김 장관은 회의에서 코로나19, 기후 위기 등 어려운 상황에서 농식품 분야에서 글로벌 공동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G20 간 협력이 절실함을 언급했다. 이어 우리나라가 농업과 농촌의 포용성 증진과 친환경·저탄소 전환, 디지털 데이터 기반의 농업혁신을 위해 노력할 것임을 강조했다.
끝으로 회의에서는 농식품 분야의 지속가능한 전환, 기술·정책 협력 강화, 세계무역기구(WTO) 규범에 부합하는 투명하고 개방된, 예측 가능한 다자무역체제의 중요성 등의 내용을 담은 공동선언문이 채택됐다. 공동선언문 주요 내용은 10월에 개최될 G20 정상회의의 공동선언문에도 반영될 예정이다.
kirock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문상호, 계엄 전 박선원 의원에 작별인사…"도와줘 고맙다, 충성" 왜?
- "여기 불륜 맛집"…제주 유명 고깃집 논란에 성시경 '불똥', 무슨일?
- 서부지법 난동범에 "그냥 국선 쓰길, 해줄 게 없더라"…변호사 조언
- 전한길 "스스로 희생한 尹 사랑할 수밖에…곧 지지율 60% 넘고 직무복귀할 것"
- '공개 열애' 이정재♥임세령, 이번엔 파리 로맨틱 데이트 현장 포착
- '강주은 성대모사' 유튜버 쓰복만 "선관위 투명해야"…전한길 지지 논란
- 조세호, 9세 연하 아내와 허니문 인증샷…모델 같은 분위기
- '49㎏ 감량' 최준희, 과감 시스루 한복…매혹적 분위기 [N샷]
- '야구 여신' 박지영 아나, 미국서 파격 비키니…글래머 몸매 [N샷]
- "손 잘려나갈듯 아파"…이상미, 15년 미뤄온 사구체종양 수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