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옷도 아닌데 한달 1500만원 번다" 이게 정말 가능?

2021. 9. 18. 18: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는 가상화폐 '젬(Zem)'으로 거래되며 현금화가 가능하다.

직접 게임 제작도 가능한데 RPG(역할수행게임), FPS(총싸움), 캐주얼 레이싱, 어드벤처 등 각종 장르가 하루 수만개 올라온다.

미국 CNBC 등 외신은 "(로블록스를 통해) 작년 한 해 127만명의 개발자가 벌어 들인 평균 수익은 1만달러(약 1300만원), 상위 300명은 10만달러(약 1억1300만원) 이상을 벌어들였다"고 보도했다.

방송을 통해 후원이 가능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네이버 제페토 크리에이터로 활동 중인 렌지는 각종 캐릭터 의상을 제작·판매해 월평균 1500만원 수입을 올리고 있다. [렌지 인스타그램 캡처]

[헤럴드경제=유동현 기자]#.네이버 메타버스(metaverse) 플랫폼 ‘제페토’에서 활동 중인 크리에이터 ‘렌지’는 캐릭터 의상을 만들어 판매한다. 이는 가상화폐 ‘젬(Zem)’으로 거래되며 현금화가 가능하다.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한 6개월(작년 12월~올해 5월) 간 매출은 9000만원. 그가 밝힌 월 평균 수입은 1500만원에 달한다.

#.지난 6월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에서는 이탈리아 명품 구찌의 ‘디오니소스 디지털 전용 가방’이 4115달러(약 465만원)에 거래됐다. 가상세계에서만 존재하는 한정판 가방으로 들 수도 만질 수도 없다. 그러나 실제 가방(약 3400달러)보다 더 비싸게 팔렸다.

가상세계를 일컫는 메타버스(metaverse) 플랫폼에서 현실 세계처럼 경제활동을 벌이는 사례가 늘고 있다. 캐릭터 의상, 신발 등 아이템을 제작하거나 직접 게임을 제작하는 등 창작활동이 실제 수익창출로 이어지는 것이다. 일부 아이템은 현실세계 가격보다 비싸게 팔리며 현실세계를 능가하고 있다.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에서는 각종 게임이 거래된다. 로블록스는 블록으로 구성된 3D 가상 세계에서 레고 모양의 개인 아바타로 게임을 즐기거나 이용자 간 채팅·통화가 가능하다. 직접 게임 제작도 가능한데 RPG(역할수행게임), FPS(총싸움), 캐주얼 레이싱, 어드벤처 등 각종 장르가 하루 수만개 올라온다. 연간 기준 2000만개 수준이다.

이는 ‘로벅스’라는 가상화폐를 통해 거래된다. 로벅스 수익은 일정 금액 이상 되면 실제 화폐로 환전이 가능하다. 지난해 125만 명의 창작자가 3억3000만 달러(약 3780억원)를 벌어들였다. 미국 CNBC 등 외신은 “(로블록스를 통해) 작년 한 해 127만명의 개발자가 벌어 들인 평균 수익은 1만달러(약 1300만원), 상위 300명은 10만달러(약 1억1300만원) 이상을 벌어들였다”고 보도했다.

네이버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서 각종 캐릭터 아이템을 제작해 월 1500만원의 수익을 올리는 창작자 '렌지'.[제페토 캡처]
로블록스서 판매된 구찌 가든 컬렉션[로블록스 캡처]

네이버 자회사 네이버제트가 선보인 제페토에서는 각종 캐릭터 아이템이 판매된다. 제페토스튜디오를 이용해 창작자로 등록한 이용자가 직접 캐릭터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다. 판매 수익의 일정 비율을 가상화폐 ‘젬(Zem)’으로 얻는데 실제 돈으로 환전 가능하다.

제페토에서 캐릭터 의상을 만드는 크리에이터 ‘렌지’는 월 평균 1500만원 가량의 수익을 올린다고 알려졌다. 현재 약 70만 명의 창작자가 제페토 내에서 아이템 제작 등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누적 아이템은 약 200만 개에 달한다.

이프랜드 내 경제시스템 설명 자료[SK텔레콤 제공]

창작자의 수익활동이 메타버스 이용자 유치에 주요한 요인이 되면서 플랫폼들은 경제 생태계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SK텔레콤이 지난 7월 선보인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는 경제 생태계를 구축 계획을 밝혔다.

연내 이용자가 직접 아이템, 의상 등을 제작·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마켓 시스템을 선보인다. 나아가 로블록스의 ‘로벅스’, 제페토의 ‘젬’과 같이 이프랜드에서 통용되는 전용 화폐 제작도 검토 중이다.

최근 네이버 제페토는 플랫폼 내에서 운영 중인 SNS에 라이브 방송을 시범 도입했다. 방송을 통해 후원이 가능하다. 향후 전체 이용자에게 적용된다면 아이템 판매 외 또다른 경제 활동 수단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dingdong@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