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비·논란 끊이지 않는 민주당 경선 관리[명절 밥상 정치이야기]

이성기 2021. 9. 18. 15: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도하차 한 정세균 전 총리 무효표 처리
투표 후 정견 발표 '요식 행위' 수준
이전과 다른 지역 순회 경선 순서
특정 후보에 유리한 구도 아니냐는 뒷말 무성

[이데일리 이성기 기자] 오는 25, 26일 `호남 대전`을 앞두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순회 경선에서 `룰`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번에는 지난 13일 경선 중도 하차를 선언한 정세균 전 총리의 득표를 무효표 처리키로 한 것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낙연 필연 캠프 박광온 총괄본부장은 1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결선투표제를 무력화할 수 있는 대선 후보 선출 특별 당규는 불완전 조항이므로 반드시 보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본부장은 “정세균 후보의 득표를 무효로 처리한 당 선관위 결정에 많은 당원들이 강력하게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민주당 특별당규 `제20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 규정` 제59조와 제60조는 서로 상충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라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박 본부장은 “대선 후보들의 경쟁력을 높이고, 정권재창출에 도움이 될 결선 투표제의 취지를 어떻게 되살릴 것인지 진지하게 검토해 현명한 판단을 내려주길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12일 오후 강원 원주시 오크밸리리조트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강원 권역 순회 경선 합동연설회에서 후보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왼쪽부터 기호순으로 이재명, 김두관, 정세균, 이낙연, 박용진, 추미애 후보. 정세균 후보는 중도 하차했다. (사진=연합뉴스)

이낙연 캠프는 제59조 조항이 결선 투표가 도입되기 전인 2012년도에 규정됐다는 점과 이 규정에 따라 사퇴한 후보의 득표를 무효로 했을 경우 결선 투표제를 사실상 무력화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앞서 이병훈 대변인도 지난 16일 “특정 후보에게 경도된 결정이고, 당이 원팀의 걸림돌이 되기로 작정한 결정”이라며 당 지도부와 선관위를 향해 이번 결정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이 대변인은 논평에서 “어떻게 정당이 권리당원, 대의원, 일반 국민 유권자를 배제하는 결정을 이렇게 쉽게 할 수 있단 말인가”라며 “모호한 규정을 자의적으로 해석해 정세균 후보를 지지한 2만 3000여 지지자들을 유령으로 만들고, 전체 표심을 왜곡하는 결정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특별 당규 59조의 무효표 규정을 지키겠다고 특별 당규 60조의 결선투표를 무력화시키는 결정을 해버린 것”이라며 “엄정 중립이어야 할 당이 특정 후보에 경도됐다는 의심을 살 결정을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낙연 전 대표 측의 반발은 경우에 따라 누적 득표율에서 1위를 달리고 있는 이재명 경기지사가 실제 과반 득표를 하지 않고도 결선 없이 본선행에 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정 전 총리의 사퇴로 이 지사의 누적 득표율은 51.41%에서 53.71%로 2.3%포인트 상승한 상태다. 전 총리가 얻었던 2만여 표를 전체 유효표에서 제외키로 한 당 선관위 결정으로 분모 자체가 적어졌기 때문이다. 남은 순회 경선에서 추가 사퇴 후보가 나올 경우 실제 득표와 득표율이 왜곡될 여지가 생기는 셈이다.

지도부는 그러나 선관위 결정대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고용진 수석대변인은 최고위원회 이후 취재진에게 “결선 투표가 생기면서 약간 충돌하는 요소가 없지 않다는 점에는 다들 동의했다”면서도 “다만, 이 조항을 향후 개선해 나가는 과정은 당헌·당규에 정해진 대로 해야 하기에 어떻게 조화롭게 정리할 것인가는 더 논의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규정을 바꾼다고 해도 소급 적용은 안 된다”고 덧붙였다.

경선 관리에 따른 논란은 이번 만이 아니다. 후보들의 정견 발표 전 유권자의 투표는 이미 끝나는 식의 진행도 뒷말을 낳고 있다. 후보들의 발표를 듣고 유권자들이 지지를 선택하는 게 아니라, 먼저 선택을 한 뒤 후보들의 발표를 듣는 선후가 뒤바뀐 방식이다. 지역 순회 합동 연설회가 `요식 행위`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올 수밖에 없다.

지역 경선 순서를 놓고서도 뒷말이 많았다. 원래 민주당 경선은 제주도에서 시작해서 서울로 올라오는 형식이었는데, 이번에는 충청권을 시작으로 강원·호남·수도권 순으로 진행된다. 첫 경선 성적표의 상징성에다 이후 이어지는 경선 영향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특정 후보에게 유리한 구도를 위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제기됐었다.

이성기 (beyond@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