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락가락 말바꾸기' 의혹만 남긴 조성은..野 "제2의 윤지오"

이창섭 기자 2021. 9. 18. 07: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한국여론방송 직원이었던 조성은 국민의당 디지털소통위원장이 3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자신과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사이에 최근 주고 받은 문자 메시지가 공개된 것을 두고 개인의 명예가 훼손되었다며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2017.6.30/뉴스1

'검찰 청부 고발' 의혹 제보자 조성은씨가 개인 사업을 이유로 출국을 앞둔 가운데 조씨를 향한 비판이 거세다. 의혹과 관련한 그의 진술이 바뀌면서 해명을 거듭했기 때문이다. 야권은 조씨를 '제2의 윤지오'로 규정하고 출국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조씨는 박지원 국정원장과 만난 횟수를 두고 진술을 번복했다. 지난 14일 CBS라디오 '한판승부'에서 조씨는 '8월11일 이후에 박 원장을 추가로 만난 적이 있냐'는 질문에 "없다"고 답한 뒤 "(박 원장이) 국내에 있을지 어디에 계실지 모른다"고 했다.

이튿날 JTBC는 조씨가 박 원장을 8월11일 이후 한 번 더 만났다고 보도했다. 검찰 청부 고발 의혹 첫 보도를 일주일여 앞둔 시점이다. 조씨는 16일 YTN라디오 '황보선의 출발새아침'에서 "(박 원장이) 근처에 있다고 해서 잠깐 티타임 가지자고 하셔서 업무 미팅하다가 그냥 잠시 가서 뵌 것뿐"이라고 해명했다.

고발장 전달 여부에 대해서도 말이 바뀌었다. 조씨는 지난 10일 'JTBC 뉴스룸' 인터뷰에서 지난해 총선 당시 김웅 미래통합당 후보로부터 받은 고발장을 당에 전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JTBC는 조씨에게 받은 USB에서 '고발장을 당에 전달했다'는 내용의 메모가 있었다고 보도했다.

이에 조씨는 17일 페이스북에 당 지도부에 고발장의 존재를 '구두'로 알렸으나 문서로는 전달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당시 선거대책위원회 법률지원단장인 김연호 변호사에게 고발장 관련해 상의를 요청했으나 김 변호사로부터 "바쁘니 나중에 한꺼번에 검토하자"는 답변을 들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김 변호사는 조씨 주장에 즉각 반박했다. 그는 같은 날 국민의힘 공명선거추진단을 통해 입장문을 내고 "법률지원단장으로 있을 때 조씨를 선대위 회의 참석 또는 국회 2층 복도에서 마주친 기억은 있으나 조씨와 최강욱 관련 고발장을 받은 적이 없음은 물론, 최강욱 고발과 관련한 어떤 상의도 받은 적이 없고 더욱이 '바쁘니 나중에 한꺼번에 검토하자'고 한 적도 없다"고 밝혔다.

(서울=뉴스1) 박세연 기자 = 10일 오후 야당을 통한 여권 인사 고발 사주 의혹 제보자라고 밝힌 조성은 전 미래통합당(현재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이 JTBC 뉴스룸에 출연해 인터뷰를 하고 있다. (JTBC 캡쳐) 2021.9.10/뉴스1

조씨가 자신의 발언을 번복한 것은 이뿐만이 아니다. 이달 초 검찰 청부 고발 의혹을 인터넷 매체 뉴스버스에 제보한 사람으로 지목되자 조씨는 각종 언론사 취재에 자신은 제보자가 아니라는 취지로 답했다. 그러다가 지난 10일 'JTBC 뉴스룸'에 출연해 자신이 제보자이며 공익신고자가 맞다고 나섰다.

또한 지난 12일 SBS 8시 뉴스에서 고발 사주 의혹 보도 시점과 관련해 "사실 9월2일이라는 날짜는 우리 원장님이나 제가 원했던 거나, 제가 배려받아서 상의했던 날짜가 아니다"라고 말해 논란이 일자 "얼떨결에 말했다" "말꼬리 잡기"라고 해명하기도 했다.

야권은 검찰 청부 고발 의혹이 정치 공작이라며 조씨를 맹비난했다. '메시지는 두고 메신저를 공격한다'는 지적도 나왔지만 조씨 본인이 거듭된 말 바꾸기로 불신을 자초했다는 비판도 만만치 않았다.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지난 15일 국회 긴급현안 보고에서 조씨를 겨냥해 "제2의 윤지오가 등장했다는 생각이 든다"고 비판했다. 조씨를 '고(故) 장자연 씨 사건' 증언자로 나섰다가 후원금 사기 의혹 등에 휩싸인 뒤 출국한 배우 윤지오씨에 빗댄 것이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도 페이스북에 조씨의 진술이 번복되는 것을 지적하며 "또 거짓말, 이분은 대체 왜 쓸데없는 거짓말을 할까?"라고 적었다.

조씨는 스타트업 사업 준비를 위해 곧 미국으로 출국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윤석열 전 검찰총장 측은 "조 씨에 대해 긴급 출국금지 조치를 내리고 수사에 착수해야 한다"고 반발했다.

조씨는 17일 페이스북에 "열심히 서비스 런칭 준비해서 뉴욕 한번 가보자! 했더니 미국 출국이니, 출국금지니 난리"라며 "윤석열 캠프와 당은 엄한 곳에 힘쓰지 않기를 바란다"고 올렸다.

이어진 페이스북 글에서는 "예고했던 대로 윤석열 전 총장과, 김웅 의원 두 사람에 대한 법적 조치와 함께 김기현 원내대표, 장제원, 권성동 의원까지 포함하여 민형사상 법 조치를 하겠다"고 경고했다.
= 박지원 국민의당 전 대표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바른정당과의 통합에 반대하는 국민의당 의원들 모임인 '국민의당 지키기 운동본부' 전체회의에서 조성은 전 비상대책위원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18.1.8/뉴스1

[관련기사]☞ 백은영 "허이재 폭로 배우, 서글서글한 호남형…평판 안 좋아""아파트 팔아 용돈 달라" 말에 매형 살해…명절 가족모임 비극명절 스트레스 받는 아내, 나이트 허락했더니 외도…♥소이현' 인교진, 재벌 2세라고?…아버지가 매출 120억대 CEO'지드래곤 매형' 김민준, 한남동 신혼집 전세가만 '40억원대'
이창섭 기자 thrivingfire21@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