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버나드 쇼가 남긴 촌철살인 음악 평론
김성현 기자 2021. 9. 18. 05:48
쇼, 음악을 말하다
조지 버나드 쇼 지음|이석호 옮김|포노|348쪽|1만9000원
“우물쭈물하다가 내 이렇게 될 줄 알았지.”
과도하게 의역한 묘비명 때문에 아일랜드 출신 극작가 버나드 쇼(1856~1950)는 평생 어영부영했을 것으로 오해하기 쉽다. 하지만 그는 ‘피그말리온’ ‘성녀 조앤’ 같은 작품으로 1925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극작가였다. 또한 온건 사회주의 단체인 페이비언 협회에 뛰어든 현실 참여적 지식인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가장 덜 알려진 면모가 음악 평론가로서의 모습이다. 1870년대부터 그가 집필한 평론만 2700쪽이 넘는다.
쇼의 음악 평론을 번역한 책. “무능하기 짝이 없는 지휘자나 자만심에 우쭐대며 실수를 남발하는 가수를 이 지구상에서 영원히 제거하고 싶은 욕망이 든다.” 작가 특유의 지독한 독설과 촌철살인의 풍자는 음악 평론 역시 예외가 아니다. 다만 그 이면의 치열한 자기 검증과 노력도 잊어선 안 된다. “평론가는 돌로 만든 벽에 자신의 머리를 던져 짓찧는 존재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조선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고양 자유로 빙판길서 44대 연쇄 추돌... 도로 통제
- 바이든 퇴임 외교 연설 “한미일 3자 협력관계 처음으로 구축”
- 美대표 팝스타의 통큰 기부…비욘세, 산불 이재민 위해 37억원 쾌척
- [Minute to Read] Ukraine captures two North Korean soldiers in Kursk
- [더 한장] 새우과자, 주지도 받지도 맙시다
- 멜라니아 “내 우선순위는 엄마, 영부인 그리고 아내”
- 트럼프 취임식, 18일 골프클럽서 시작… 역대 최고 수준 보안 조치
- 정진석 “尹에 자기 방어권 보장해 달라… 제3 장소, 방문 조사 가능”
- 한국에서 ‘틀딱’ ‘연금충’ 폄하할 때, 일본에서 시니어 대접하는 법
- 어느새 사라진 흰밥과 라면, 가정식 전라도 파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