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관영매체 "헝다, 대마불사 요행 바라지마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관영 매체 총편집인이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에버그란데)에게 대마불사(덩치 큰 회사는 망하지 않는다)의 요행을 바래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후 총편집인은 그러면서 맹목적 확장, 금융 조작, 과도한 레버리지 사용 등 헝다의 경영상 문제점을 꼬집으며 "규모가 커질수록 부채비율이 높아지고 취약성도 커졌다. 쌓아 올린 계란처럼 위험한 상황이 조성됐다"고 평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베이징=정지우 특파원】중국 관영 매체 총편집인이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에버그란데)에게 대마불사(덩치 큰 회사는 망하지 않는다)의 요행을 바래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후시진 환구시보 총편집인은 17일 자신의 웨이보(중국판 트위터) 계정에 올린 게시물에서 "기업은 반드시 시장 방식의 자구 능력을 갖춰야 한다"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헝다의 총부채는 작년 말 기준 1조9천500억 위안(약 355조원)에 달한다.
후 총편집인은 그러면서 맹목적 확장, 금융 조작, 과도한 레버리지 사용 등 헝다의 경영상 문제점을 꼬집으며 "규모가 커질수록 부채비율이 높아지고 취약성도 커졌다. 쌓아 올린 계란처럼 위험한 상황이 조성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국가는 기업에 어려운 문제를 내지 않고 일부러 기업을 곤경에 빠뜨리지 않는다"면서도 "국가가 해당 분야에 대한 규범적 조정작업을 해야 할 때 일부 기업의 상황이 심각하다 해서 그 기업을 위해 타협하거나 보호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헝다가 파산할 경우 2008년 미국의 리먼 브러더스 때와 같은 구조적 금융위기가 촉발될 수 있다는 일각의 관측에 대해서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 몇몇 전문가도 같은 의견을 밝혔다"고 덧붙였다.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들 친구의 엄마와 수영복 입은 상태로.. 수영장 논쟁
- 박시은 "임신 9개월에 아기 심장 멈춰... 그래서..." 고백
- 전현무 "프랑스고 나발이고 일본을..." 왜 급 흥분했나?
- 주유소에서 돈 던진 벤츠, 여성 알바생 바닥에 쭈그려..논란
- 짧은 치마 입은 여자를 채찍으로... 살벌한 단체의 정체
- 심상치 않은 尹 지지율 근황, 대구·경북서..'반전'
- "성형외과서 내 상의탈의 사진 유포" 직접 사진 올려 호소
- 배달 탕수욕에 담배꽁초 서비스.. 실화+사진 공개
- 엄마 시신과 2년 지낸 딸의 메모 "2020년 8월.." 사연
- "혼인신고 이미 했는데…예비신랑 다른 여자 2명, 2억 빚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