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신공항 '24시간 공항'으로..제주2공항은 한발 물러서
[경향신문]
2025년까지 8조7000억 소요…인천공항은 제2터미널 확장 추진
찬반 갈린 제주2공항엔 “수요·환경영향 평가” 원론적 입장 회귀
정부가 제주지역의 항공 수요와 안전성, 환경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 제2공항 추진 방향을 검토하기로 했다. 가덕도신공항은 여객·화물 수요를 충분히 처리할 수 있는 공항으로 개발한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2021~2025)을 항공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했다고 17일 밝혔다. 공항개발 종합계획은 5년 단위로 수립하는 공항 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국토부는 이번 6차 계획에서 제주 제2공항에 대해 “항공안전 확보, 시설용량 확충 필요성, 환경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추진 방향을 검토한다”고 명시했다. 앞선 5차 계획(2016~2020)에서 “건설을 조속히 추진해 2025년경 개항”이라는 구체적 일정을 제시했던 것에 비해 원론적인 입장으로 물러선 것이다. 지난 7월 환경부가 국토부의 전략환경영향평가서를 반려한 데다, 제주 지역민의 찬반 여론이 갈린 상황에서 충분한 시간을 갖고 추진 방향을 결정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다만 국토부는 제주지역 공항 인프라 사업에 대해서는 “공항 혼잡도 개선, 안전성 확보 및 이용객 편의 제고를 지속 추진한다”고 덧붙였다.
가덕도신공항은 국토 균형발전과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여객·화물 수요를 24시간 충분히 처리할 수 있는 공항으로 계획하겠다고 국토부는 밝혔다. 또 인천공항은 연 1억명 수용이 가능하도록 제2터미널 확장과 제4활주로 신설을 추진하고, 공항 주변 복합관광단지, 업무·숙박·상업 등 공항복합도시 개발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대구공항 이전에 대해서는 사전타당성 조사 등을 통해 민군 공항의 조화로운 운영방안을 강구하고 민간 항공수요가 적기에 처리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무안공항·광주공항 통합 이전에 대해서는 무안공항을 서남권 중심공항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통합 추진한다고 명시했다. 흑산·백령·서산·울릉공항 등 소형공항은 관련 절차에 따라 추진한다. 경기 남부 민간공항 건설, 원주공항 시설개선, 포천 비행장 내 민항시설 설치 등 지자체 제안은 지자체 간 협의 상황을 비롯한 추진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뒤 추가 검토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6차 계획에 반영된 사업을 추진하는 데 8조7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인천공항 4단계 건설사업 등 시설확장·유지관리에는 4조7000억원, 울릉공항과 새만금신공항 등 건설투자에 4조원이 투입된다.
김희진 기자 hjin@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동훈 처조카 논문에 연세대 외숙모 의대 교수 이름
- 두발 단속·일제 소지품 검사 부활하나···서울 학생인권조례 폐지 위기
- ‘개그콘서트’가 돌아온다
- 커터칼로 택시 44대 뒷좌석 ‘쓱’···왜 그랬나 물으니
- 이런 실수…‘고향사랑기부금’ 낸 손흥민, 세액공제 못 받나
- ‘진짜 오징어게임?’ 넷플릭스 쇼 촬영 중 3명 부상
- 집집마다 난방비 폭탄···“이 고지서가 맞아?”
- “자퇴하고 의대” SKY 중도탈락 3년 만에 60% 급증
- 새마을금고를 보면 보인다, 한국이 왜 ‘갑질 지옥도’ 되는지
- 중국도 일본도 최강 한파···중국은 사상 최저 영하 53도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