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구원 "서울시민 추석 지출 20∼50만 원 가장 많고, 온라인 장보기 크게 증가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연구원(원장 직무대행 유기영)은 '3/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추석 경기 진단'(정책리포트 제331호) 조사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소비자태도지수'는 2021년 3/4분기 93.2로 전 분기 대비 0.3p 소폭 상승하며 2분기 연속 90선을 유지했다.
서울시민의 올 추석 예상 지출액은 '20∼50만 원 미만'이 36.8%로 가장 많았으며, 50∼100만 원 미만이 29.4%, 20만 원 미만이 16.8%로 집계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구원(원장 직무대행 유기영)은 ‘3/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추석 경기 진단’(정책리포트 제331호) 조사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소비자태도지수’는 2021년 3/4분기 93.2로 전 분기 대비 0.3p 소폭 상승하며 2분기 연속 90선을 유지했다. 서울의 소비자태도지수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2021년 2/4분기 처음으로 90선을 회복했다(*소비자태도지수는 100을 넘으면 경제전망이나 소비지출 전망을 긍정적으로 본다는 뜻이고, 100보다 낮으면 반대다).
소비자태도지수는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급증,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그에 따른 급속한 물가 상승 등이 국내·외 불안 요인으로 작용해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 있는 상황이다(그림1 참조).
소비자태도지수의 구성 요소인 ‘현재생활형편지수’와 ‘미래생활형편지수’ 모두 전 분기 대비 상승했다. 현재생활형편지수는 전 분기 대비 2.6p 상승한 79.2를 기록해 2분기 연속 상승세를 보였고, 미래생활형편지수 역시 전 분기 대비 2.0p 상승한 97.1로 조사됐다. 1년 후 가구 생활 형편의 호전 이유로는 ‘가계소득 증가’와 ‘보유자산의 가치 상승’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그림2 참조).
2021년 3/4분기 서울시민의 ‘내구재 구입태도지수’는 전 분기 대비 0.3p 하락한 81.6으로 나타난 반면, ‘주택 구입태도지수’는 전 분기 대비 1.5p 상승한 58.0을 기록하며 2분기 연속 상승했다(그림3 참조).
4분기 연속 상승세를 보이던 ‘고용상황전망지수’는 2021년 3/4분기에 전 분기 대비 2.5p 하락한 76.0을 기록했고, ‘순자산지수’와 ‘물가예상지수’는 각각 0.4p, 1.9p 소폭 상승했다(그림4 참조).
한편 서울 지역 표본 1200가구를 대상(응답 1200명)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한 결과, 서울시민 64.4%가 올 추석 경기가 지난해보다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올 추석 지출은 지난해와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55.8%로 가장 높았으나, 줄어들 것이라는 응답도 31.8%로 상당수를 차지했다.
추석 연휴 이동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서울시민 65.1%가 ‘이동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으며, 추석 민생 안정 대책 1순위로는 54.3%가 ‘코로나19 감염병 대응’을 꼽았고, 다음은 ‘추석 성수품 물가 안정(24.0%)’, ‘소비심리 회복(7.5%)’ 순으로 조사됐다(그림5 참조).
서울시민의 올 추석 예상 지출액은 ‘20∼50만 원 미만’이 36.8%로 가장 많았으며, 50∼100만 원 미만이 29.4%, 20만 원 미만이 16.8%로 집계됐다. 5년간 서울시민의 추석 예상 지출액을 살펴보면 ‘20만 원 미만’ 비중(2017년 6.9%->2021년 16.8%)이 가장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추석 준비 시 가장 부담되는 비용은 ‘가족 및 친·인척 용돈’이 43.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명절 선물비(27.3%)’, ‘추석 상차림비(22.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그림6 참조).
추석 상차림을 위한 1순위 제품 구입 장소는 ‘대형마트’가 49.0%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은 ‘전통시장(20.2%)’, ‘온라인 쇼핑몰(14.0%)’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추석 상차림 제품 구입 장소 중 ‘온라인 쇼핑몰’ 비중이 2017년 1.9%에서 2021년 14.0%로 큰 폭 상승했다(그림7 참조).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출처:서울연구원
보도자료 통신사 뉴스와이어(www.newswire.co.kr) 배포
Copyright © 뉴스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남도소리의 깊은 울림… 여성 예술가 3인이 펼치는 ‘삼부작 三部作’ 첫 무대 - 뉴스와이어
- 좋은땅출판사 ‘노화는 선택이다’ 출간 - 뉴스와이어
- 투썸플레이스, 아샷추&아이스티 흥행 잇는다… 1달 만에 70만 잔 돌파 - 뉴스와이어
- 한국잡지협회, 제45회 잡지발행인 세미나 대만서 개최 - 뉴스와이어
- ‘2025년 제1차 사회서비스 정책포럼’ 개최 - 뉴스와이어
- 쿠콘 ‘비대면 신분증 사본 판별’ API로 본인 인증 절차 신뢰성 제고 - 뉴스와이어
- 현대차그룹 자율주행 합작법인 모셔널, 사장 겸 CEO로 로보틱스·AI 전문가 로라 메이저 선임 - 뉴
- LIG넥스원, PT.DI와 업무협약 체결… 정밀 유도무기 및 감시정찰 장비 인니 진출 공략 - 뉴스와이어
- ‘제1회 사람사는세상 책문화제’ 6월 27일부터 노무현시민센터에서 개최 - 뉴스와이어
- 유조이게임즈 ‘모에라이: 운명의 계약’ 싱글벙글 웹드라마 & 밈 챌린지 공개 - 뉴스와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