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중국 니켈 회사 지분 인수..배터리 소재 확보

서미숙 2021. 9. 17. 09: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LG에너지솔루션이 중국의 제련 전문 기업의 지분을 매입하며 배터리 핵심 원재료 확보에 나섰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계약으로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니켈을 안정적으로 추가 확보함에 따라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글로벌 배터리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앞서 호주 배터리 원재료 개발업체들과도 니켈, 코발트 장기 구매계약을 맺는 등 배터리 핵심 소재 안정적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50억원에 그레이트파워 지분 4.8% 매입, 장기구매계약 체결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LG에너지솔루션이 중국의 제련 전문 기업의 지분을 매입하며 배터리 핵심 원재료 확보에 나섰다.

LG에너지솔루션은 니켈·코발트 등을 생산하는 중국 '그레이트파워 니켈&코발트 머티리얼즈 주식회사(Greatpower Nickel & Cobalt Materials Co. Ltd.)'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약 350억원 투자로 지분 4.8%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 오창공장 전경 [LG에너지솔루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그레이트파워는 2006년 설립된 제련 전문 기업으로 중국 상하이에 본사를 두고 있다. 오는 2023년 전기차 배터리용 황산니켈 양산을 목표로 중국 현지 공장을 건설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지분 인수와 함께 장기구매계약도 맺음에 따라 2023년부터 6년간 니켈 총 2만t(톤)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게 된다.

이는 고성능 전기차(한 번 충전으로 500km 이상 주행가능) 약 37만대에 공급할 수 있는 물량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계약으로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니켈을 안정적으로 추가 확보함에 따라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글로벌 배터리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니켈은 전기차 배터리 4대 필수 소재인 양극재의 핵심 원료로, 최근 이 비중을 최대 80% 이상으로 높인 '하이니켈 배터리' 공급이 확대되는 추세다.

일반적으로 니켈 비중을 높이면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가 높아져 전기차 1회 충전시 주행거리가 늘어나게 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내년 상반기에 3세대 차세대 전기차용 '하이니켈 NCMA' 배터리 생산을 본격 시작해 점차 그 비중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하이니켈 NCMA(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조성의 양극재)는 양극재 내에 니켈 함량을 89∼90%까지 높이고, 가격이 비싼 코발트는 5% 이하로 줄이면서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알루미늄을 추가해 안정성과 출력을 높이면서 가격 경쟁력도 향상한 배터리다.

LG에너지솔루션은 앞서 호주 배터리 원재료 개발업체들과도 니켈, 코발트 장기 구매계약을 맺는 등 배터리 핵심 소재 안정적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sms@yna.co.kr

☞ "사촌 친구가 백신 맞고 성기능 불구" 팝스타 SNS에 발칵
☞ 아들에 117억 보험금 남기려 '자살청부'한 변호사
☞ 서울 딸한테 묻어온 코로나…옥천 일가족의 쓸쓸한 추석
☞ 파리 개선문을 천으로 뒤덮었다는데…무슨 이유로
☞ 아이 이상해 주머니에 녹음기 넣어 등교시켰더니 담임선생님이…
☞ '우리도 다 드려요'…경기도 외 지원금 100% 주는 지역들 어디?
☞ 아빠찾아 삼만리…홀로 아프간 탈출한 3세 꼬마의 해피엔딩
☞ 아파트서 부패한 채 발견된 60대 여성 시신…타살인가
☞ "앞날에 좋은 일 기원"…영국 여왕, 김정은에 축전 보낸 이유는
☞ 애벌레 먹방 대박났다…22살 아마존 원주민 여성에 600만명 열광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