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찬투' 제주 강타, 지역별 최대 위험 시각은?

반기성 입력 2021. 9. 17. 06:34 수정 2021. 9. 17. 08: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진행 : 김영수 앵커, 문지현 앵커

■ 출연 : 반기성 /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이번에는 케이웨더 반기성 센터장 모시고 태풍 현재 상황과 전망 알아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저희가 기상캐스터 연결해서 알아봤는데 태풍 위치가 지금 어디쯤입니까?

[반기성]

현재는 제주 서귀포 남쪽 80km 해상 정도 위치하고 있는데요. 속도가 빨라지면서 바로 한 7시 정도면 제주와 가장 근접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요. 제주를 치고 나가는 게 아니라 제주 남쪽에서 돌아서 동쪽으로 나가기 때문에 일단 다음 시간이 가장 가깝고 그다음에 9시경에 제주 동쪽 해상을 80km 해상까지 나가는 것이거든요.

그리고 나서 부산 150km. 그때부터는 거의 위도와 평행하게 동진해 나갑니다. 그러니까 더 이상 우리나라 쪽 근접하는 것은 아니고요. 동진해 나가다가 오늘 밤에 일본의 혼슈 쪽으로 상륙하는 것으로 그렇게 예상하고 있습니다.

[앵커]

북동보다는 동쪽에 가깝게 간다, 이렇게 보면 되겠습니까?

[반기성]

그렇습니다. 동쪽에 가깝게 이동하는 걸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앵커]

그런데 원래 태풍이 처음에 2~3일 정도 상하이 부근에 정체를 좀 하다가 이번에 다시 북상하고 있는 거거든요. 그 이유는 뭡니까?

[반기성]

일단 태풍이 올해 태풍 같은 경우는 상당히 이례적입니다. 가을 태풍 같은 경우는 거의 기압계가 결정되기 때문에 거의 방향을 잡으면 그대로 이동해 나가는 그런 패턴인데, 지금까지는 거의. 그러나 여름 태풍 같은 경우는 지금과 같이 상당히 이례적인 태풍들이 발생을 해요, 여름에는. 그런데 가을에 접어들면서 상당히 이례적인데. 대개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게 후지와라 효과죠. 2개의 태풍이 서로 간섭을 하지 되면 진로가 왔다갔다하고 횡자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게 가장 많이 나타나는데 지금 같은 경우는 그게 아니고 지난주부터 우리나라하고 태풍의 동쪽이죠. 우리나라 쪽으로 지상부터 상층까지 상당히 강한 고기압이 위치하고 있었습니다. 이 고기압이 위치하면 이 자체가 고기압이 벽을 쌓기 때문에, 블로킹 역할을 하기 때문에 태풍이 들어오지 못하는 거예요.

그러다 보니까 태풍이 필리핀 해상에서부터 그대로 태풍의 고기압의 벽을 따라서 북상을 한 것이고요. 북상을 했는데 북상해서 올라가다 보니까 위에서 찬 공기가 내려오다 보니까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고. 그러니까 편서풍이 되니까 들어오기는 들어와야 되는데, 동쪽으로. 이게 꽉 막고 있으니까 들어오지 못하고 그러니까 이 자체에서 계속 휘는 거죠. 그냥 휘고 내려가서 다시 거꾸로 올라오고 이런 형태거든요, 지금. 그리고 오늘 아침부터 막고 있던 고기압 세력이 빠지는 겁니다.

사실 어제 저녁부터 서서히 빠지기 시작했거든요. 빠지면 바로 그 뒤에 상층 기압골이 있습니다. 기압골이 따라 내려옵니다, 제트기류. 따라내려오기 때문에 방향이 바뀌면서 오늘부터는 태풍 이동 속도가 빨라지는 것이죠.

[앵커]

태풍이 상해 인근에서 머물면서 세력이 조금 약해졌다고 하던데 그러면 지금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은 어느 정도 규모예요?

[반기성]

지금은 일단 크기 자체는 반경이 300km가 안 되기 때문에, 강풍 반경이. 그러니까 소형이죠. 일단 크기는 작아요. 그리고 강도는 중 정도입니다. 그러니까 지금 중심최대풍속이 초속 29m 정도 되고 있는데 이 정도면 올해 올라왔던 오마이스보다는 더 강한 태풍이기는 하죠.

중급 태풍 정도가 되니까. 그래서 지금까지는 약해졌어요. 그러니까 무슨 얘기냐면 올라가서 상하이 인근 해상에 위치하게 되면 오랜 시간 좁은 해역에 위치하게 되면 속도, 세력은 약해지게 돼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만큼 깊은 데까지 뜨겁지가 않기 때문에 태풍 밑에 있는 물을 끓어올리는 용승을 하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 인근에 올라와서 세력이 급속히 약해지는 경향을 보이죠. 원래 태풍 같은 경우도 대만 인근 해상 올라갈 때만 해도 한 53m 정도 됐던 태풍입니다. 그랬다가 상하이까지 올라가서 39 이 정도까지 갔었는데 현재는 29거든요. 42, 그러니까 10m 이상 약해진 거죠.

여기까지는 약해졌는데 지금부터는 그 세력으로 거기서부터 제주 남쪽으로 해서 현재 대마도 쪽으로 해서 대한해협으로 해서 일본 들어가는 그 사이는 해수 온도가 28~29도 정도가 됩니다. 그러니까 이제부터는 약해지지 않는 거죠. 그러니까 가을태풍이 무섭냐고 얘기하냐 하면 이동이 빠르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지 않고 올라오거든요.

그러니까 지금은 약해졌지만 지금부터는 위성사진 보시면 아시겠지만 굉장히 테두리가 아주 뚜렷해요. 생각보다 강한 태풍이에요, 이게. 그럼 그런 태풍 같은 경우는 기상청 예상도 거의 부산 앞바다 오늘 지나갈 때까지 세력은 약해지지 않는 거예요, 똑같이. 그 힘으로 간다고 보는데 그게 맞는 것 같습니다. 거의 그대로 갈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럼 해수 온도가 그렇게 낮지 않기 때문에 강하게 계속 이동할 것이다. 이렇게 전망해 주셨는데요. 그럼 이제부터 본격적인 영향권에 들어가는 건데 지역별로 또 시간별로 비바람은 어느 정도 될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반기성]

일단 제주권은 태풍 경보가 발령됐고요. 태풍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봐야 되겠죠. 그리고 주의보가 발령돼 있는 경남 해안에 이미 태풍의 영향권 내에 들어갔다고 봅니다. 이 지역 쪽으로는 국지적으로 비는 제주도는 현재까지 너무 많이 내렸습니다.

1000mm 이상 현재 많이 내렸는데. 앞으로도 한 150mm 이상 더 내릴 것으로 예상되고요. 태풍이 일단 빠지고 나면 비는 그렇게 안 내립니다. 그러니까 오늘 제주도 같은 경우는 한 10시 정도 되면 태풍은 빠져나갈 것 같아요. 그렇다면 그 이후에 저렇게 태풍이 제주도 남쪽으로 지나간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전남 해안이라든가 이런 섬 같은 지역은 바람이 많이 붑니다.

순간 최대 풍속 30m까지 불고 또 비도 올 수 있기 때문에 시간당 30mm 이상. 아직까지 남해안 지역. 지금부터는 제주도가 가장 강하지만 앞으로 주로 남해안 지역이 되겠죠. 남해안 지역 그다음에 오후 들어가면 경남, 부산 그다음에 좀 더 밤쪽에 가까워지면 경남 동해안 쪽이 가장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합니다.

[앵커]

그러면 비보다는 바람에 대한 영향이 더 클 거라고 보시는 겁니까?

[반기성]

원래 태풍 같은 경우는 올라오면서 29m였기 때문에 바람보다는 비가 더 영향을 주지 않겠나 그렇게 봤는데 실제로 폭 자체가 좁다 보니까 비를 아주 강하게 내릴 수 있는 폭은 좁아요. 그 위에 연관된 비구름들이 있지만. 그래서 이번에는 바람과 비가 거의 비슷하게 피해를 주는 태풍이 아니겠느냐, 그렇게 예상을 합니다.

[앵커]

일단 태풍이 가지고 있는 바람의 크기가 초속 29m이고요. 그런데 제주도에 부는 바람 같은 경우는 30m를 넘는 경우도 있더라고요.

[반기성]

지금은 넘었죠.

[앵커]

이 정도 세기가 어느 정도인지 가늠이 잘 안 되는데 어느 정도인지 비교해 볼 만한 게 있을까요?

[반기성]

우리가 보통 제일 태풍을 구분할 때 15m, 기상청은 17~25m. 등급에 따라 분류를 하는데 보통 15m가 넘으면 간판이 떨어져 내립니다. 그러니까 도심지 같은 데 태풍이 들어오면 제일 위험한 게 비산물들이 되는 것이죠. 지금 같은 경우는 남해안이라든가 부산이라든가 이런 대도시는 상당히 바람이 강하게 불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거든요.

특히 대도시 같은 경우는 빌딩풍까지 가미가 되기 때문에 이런 지역에서는 태풍이 근접할 때는 가급적 외출하지 않는 것이 좋고요. 다음에 그것보다 좀 더 강해져서 최대 풍속이 25m 이상이 된다고 한다면 거의 지붕이나 기왓장이 날아가고요.

30m라고 하면 나무가 뽑힌다는 거거든요. 그다음에 거의 35m 이상이면 나무가 뽑힌다고 얘기하는 건데 대개 30~40m 이 정도가 되면 기차도 탈선을 하고 굉장히 사실은 우리가 상상하는 이상으로 바람 피해가 커질 수가 있는 겁니다.

[앵커]

보통 지금 진로를 보면 우리나라가 태풍의 왼쪽에 있고 일본이 오른쪽에 있지 않습니까? 보통 통상적으로는 오른쪽이 더 위험하다고 하죠?

[반기성]

태풍은 편서풍하고 같이 가미돼서 가기 때문에 당연히 우측이 훨씬 강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우측을 갖다가 위험반원, 이쪽 좌측을 가항반원이라고 얘기하는 것이죠. 이쪽은 항해해도 된다, 배가 먼바다 같은 데는 태풍을 못 피하면 가항반원으로 들어가거든요.

거기는 피할 수가 있다는 건데 대개 저희들은 풍속을 보면 위험반원이 가항반원에 비해서 한 30% 정도가 더 강합니다. 그리고 비도 태풍의 전면에서 우측 반원 쪽이 더 강하게 치고 들어가기 때문에 사실상 비라든가 혹은 파도, 해일이 밀려들어가는 방향이라든가 바람이라든가 전부 우측이 강해요. 그래서 우리나라보다는 현재 태풍으로 본다면 일본의 규슈라든가 큐슈 쪽의 피해가 더 클 가능성을 높게 보는 것이죠.

[앵커]

센터장님, 아까도 잠깐 언급해 주셨는데 지금 지역별로 몇 시 정도까지 긴장을 해야 될까요?

[반기성]

일단 제주는 지금부터 늦어도 10시나 11시까지는 가장 피해가 심한 시각이 될 것으로 보고 있고요. 전남 해안 같은 경우도 지금 시각부터 10시 전후. 경남 해안 같은 경우는 9시 전후부터 시작해서 오후 5시 사이 정도가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다음에 경남 동해안 쪽은 오후 15시부터 20시 전후 사이.

[앵커]

저녁 때까지도 조심해야겠네요.

[반기성]

오히려 그때는 동풍이 들어오기 때문에 경남 동해안 쪽은 바람이 많이 불고 비가 내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앵커]

제가 지금 태풍특보를 하고 있지만 저는 출근할 때 아무런 영향이 없었거든요. 수도권에는 태풍의 영향이 아예 없는 건가요?

[반기성]

원래 처음 예측을 했을 때는 남해안 바로 붙어서 지나가는 것으로 예측을 했어요. 기상청이든 일본 기상청이든 다 똑같이. 그랬다가 이게 바로 아까 말씀하신 것처럼 상하이 앞바다에서 머물면서 진로가 완전히 바뀌어버린 거죠. 내려가버린 바람에 거기서부터 다시 올라오려다 보니까 지금은 제주도 남쪽으로 지나가게 되는 거죠.

이렇게 되면 원래 예측했던 것보다 150km 이상 남쪽에 지나가기 때문에 그렇게 된다면 그전까지만 해도 서울도 다 비가 오는 것으로 예보를 했다가 이제는 온다면 경기 남부 정도 올 것이고요. 서울도 빗방울이 떨어질 수는 있겠지만 비라고 얘기하기는 좀... 그러니까 직접적인 영향은 서울은 없다고 보는 게 맞습니다.

[앵커]

내일부터 추석 연휴잖아요. 날씨 전망을 좀 해 주시죠.

[반기성]

일단 이번에 태풍 지나가면 오늘 밤부터 비는 그칩니다. 그치고 내일은 날씨 괜찮을 것으로 일단 보고 있어요. 내일은 괜찮고 그다음에 19일 정도도 괜찮을 걸로 보고 있는데 20일날 기압골로 전국적으로 비 내릴 겁니다.

그런데 비 내리는 시간은 짧을 것 같아요. 그래서 그날 비 끝난 다음에 남부지방 쪽은 보름달을 잘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문제는 중부지방은 빠지더라도 세컨더리로 들어오는 형태가 있기 때문에 비는 안 내리더라도 저녁 때 구름은 많을 것 같아요. 그러니까 구름 사이로 보이지 않겠나 보고요.

그리고 22일날 귀경하는 날이죠. 그날은 중부지방은 일단 오후 중반까지는 비가 있을 것 같습니다. 양은 많지 않더라도 비가 내리는 날씨가 될 것 같아요. 그리고 나서 23일부터는 괜찮겠습니다.

[앵커]

코로나19라서 많이 답답하실 텐데 이번 태풍으로 피해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YTN 반기성 (jh0302@ytn.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및 예방접종 현황을 확인하세요.

연예인 A씨와 유튜버의 싸움? 궁금하다면 [웹툰뉴스]

깔끔하게 훑어주는 세상의 이슈 [와이퍼]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