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미사일 도발 계속되자 ..문 대통령, 유엔 연설 메시지 '고심'
[경향신문]
‘한반도 평화’ 초안 구상서
북한과 군사 갈등에 부담감
청 “내용 수정될 수도 있어”
최근 연이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험으로 다음주 유엔총회에 참석해 대북 메시지를 내놓으려는 문재인 대통령의 고심이 크다. 임기 마지막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화 노력을 강조하려던 구상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문 대통령은 오는 19~23일 3박5일간 제76차 유엔총회 참석 등을 위해 미국 뉴욕 등을 방문한다. 문 대통령은 당초 올해 남북 유엔 동시 가입 30주년을 맞아 이번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대화와 협력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구축을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을 국제사회가 계속 지지해 줄 것을 요청할 예정이었다. 아울러 코로나19와 기후변화를 비롯한 전 세계적 위기 극복과 포용적 회복을 위한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을 호소할 계획이다.
최근 북한의 신형 장거리 순항미사일과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시험으로 이 같은 구상에 차질이 생겼다. 지난 15일 1시간여 간격을 두고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시험과 남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시험이 실시됐다. 문 대통령이 SLBM 잠수함 발사시험을 참관하며 “우리는 언제든지 북한의 도발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억지력을 갖추고 있다”고 한 발언에 대해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담화를 통해 비난했다.
북한이 남한의 미사일 시험을 두고 “자기들의 행동은 평화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당한 행동이고, 우리의 행동은 평화를 위협하는 행동”이냐고 비난하는 상황에서 북한의 도발 자제를 촉구하기도, 대화와 협력만 얘기하기도 모두 난감한 처지다. 청와대는 “연설문은 마지막까지 다듬어지고 수정된다”며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문 대통령 유엔총회 기조연설 내용이 일부 바뀔 수 있음을 시사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김 부부장 담화와 관련해 이날 “특별히 언급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북한이 대화 재개에 나설 가능성이 아직 남아 있다는 데 무게를 실으면서 그 조건을 마련하기 위해 계속 공을 들이고 있다. 김 부부장 담화에서 “우리는 그것(북남관계 완전 파괴)을 바라지 않는다”며 남북관계 개선 여지를 남겼고, 대내매체를 통해 주민들에게는 담화를 전하지 않고 있는 점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문 대통령은 전날 왕이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을 접견하면서 내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하는 데 중국이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정대연 기자 hoan@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어디서든 쏠 수 있다’…북한, 다양한 미사일 발사 수단 과시
- 바람난 아빠가 죽었다, 내연녀에게 줄 위자료 남기고
- “병가 한 번만 줬어도…” 20대 청년 앗아간 ‘아파도 출근’
- 지드래곤, YG 떠났다…“별도 계약 협력 중”
- 이채익 “우크라이나 6·25 참전국인데”···김병주 “당시 소련이었다”
- ‘현충일이 고기먹는 날?’…고기팔기 혈안, 순국선열 잊은 ‘육육데이’
- 젤렌스키 “바흐무트에서 전진 중” 러시아 “우크라이나군 격퇴”
- 먹고 살기 힘든데 “취미 가지라”…크레파스 주고 떠난 전세피해 상담서비스
- 대법관도 거부 검토, 사법부 흔드는 대통령
- “옆집 이사오더니 대박났어요”…이웃 낙수효과 엄청 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