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연료' 엔진 탑재 로켓 2024년 발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기술로 만들어진 고체연료 엔진을 탑재한 우주로켓이 2024년 발사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500㎏ 이하 소형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올릴 때는 고체연료 로켓이 더 경제성이 있다"며 "액체연료 우주발사체 누리호 개발을 통해 확보된 기술과 더불어 고체 우주발사체 기술을 단기간 내 확보해 7대 우주강국을 향해 한 발짝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정찰용 500kg급 위성 장착
국방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일 “고체 우주발사체 주요 구성품들을 검증·통합해 2024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국내 독자 기술 기반의 고체 우주발사체를 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앞서 지난 7월 29일 우주발사체용 고체 엔진 연소시험에 성공한 바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500㎏ 이하 소형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올릴 때는 고체연료 로켓이 더 경제성이 있다”며 “액체연료 우주발사체 누리호 개발을 통해 확보된 기술과 더불어 고체 우주발사체 기술을 단기간 내 확보해 7대 우주강국을 향해 한 발짝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방부는 우주산업 진흥을 위해 소형 발사체 개발 기술을 민간으로 이전해 민간기업 주도로 고체연료 엔진 발사체 제작 및 위성 발사가 이뤄지도록 기술 지원을 추진하기로 했다. 과기부는 민간기업이 개발 중인 소형 발사체 발사 등을 지원하기 위해 나로우주센터 내 신규 발사장 및 발사대, 발사추적시스템 등을 구축할 계획이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Copyright©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