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스트리트] 국가식량계획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류의 식량난은 오래 전부터 현인들이 우려한 화두다.
18세기 영국 경제학자 토머스 맬서스는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세계적 석학들이 모인 로마클럽도 1972년 환경오염과 자원부족으로 21세기엔 1인당 식량생산량이 급감할 것으로 전망했다.
선후진국 간 곡물 수급 불균형 등 범지구적 먹거리 위기가 여전한 터라 더 늦기 전에 정부가 '식량 안보' 확보 로드맵을 내놨으니 다행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들의 불길한 예언은 상당히 빗나갔다. 맬서스는 인구론에서 인간의 강한 성욕 때문에 인구가 25년마다 두 배로 증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다수 선진국은 지금 저출산이 문제다. 로마클럽보고서가 걱정한 '성장의 한계'도 대부분 적중하지 않았다. 식량생산량은 외려 40년 동안 두 배 이상 늘어나면서다.
그러나 지구촌 전체로 보면 아직 안심하긴 이르다. 아프리카·아시아 등 저개발국에서는 인구가 지금도 폭증세다. 최근 세계 인구 70억명 중 16%는 굶주리고 있다. 이보다 많은 비율의 인구가 영양과잉으로 비만증을 앓고 있다니, 이런 기막힌 역설도 없다.
정부가 16일 '2021~2025년 국가식량계획'을 발표했다. 국민 먹거리의 안정적 공급체계 구축과 접근성 보장 그리고 친환경 생산·소비 등을 주요 정책방향으로 제시하면서다.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낸 국가 먹거리 종합전략인 셈이다. 선후진국 간 곡물 수급 불균형 등 범지구적 먹거리 위기가 여전한 터라 더 늦기 전에 정부가 '식량 안보' 확보 로드맵을 내놨으니 다행이다. 더욱이 최근 식량난 관련, 선각자들도 예측 못한 변수가 속출하고 있다. 신흥국 인구 증가 등에 따른 수급 차질과 별개로 기후변화로 인한 작황 불안과 코로나19발 물류난이 그것이다. 유엔도 세계적 식량 불안과 영양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푸드시스템 전환을 강조하고 있는 배경이다. 마침 정부도 쌀 공공비축 매입량을 올해 35만t에서 내년 45만t으로 확대한다니, 식량안보를 향한 첫걸음인지도 모르겠다.
kby777@fnnews.com 구본영 논설위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박성광 아내' 이솔이, 암투병 고백 후 사망 루머 "어떻게 해야할지"
- "아내가 다른 남자와 성관계" 숨소리도 녹음해 '외도 의심'…도 넘은 '의처증 남편' [헤어질 결심]
- 20세 최연소 사시 합격자, 8년 다닌 김앤장 그만두고 선택한 길은?
- “이재명 아들 아니야” 李캠프, ‘도봉역 벤츠 난동’ 허위정보 유포 고발한다
- 日 배우, 실종 3개월 만 숨진 채 발견…"정신질환 앓고 행방불명"
- 예비 신랑, 결혼 앞두고 장모와 잠적…드라마 같은 막장
- '빚 150억' 임채무, 과거 '18평 아파트' 직원 26명에게 선물하기도
- '결혼 12일 만에 파경' 이민영 "공백기 고스톱으로 7조 모아
- 사강, 암 의심·자궁내막증 수술 고백…"故남편이 알려줬나"
- 故김새론 배우 복귀 위해 신내림 받았다? 측근 "사실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