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규제 쇼크' 카카오 시가총액 14조 증발.. 네이버는 7조 감소

최형석 기자 입력 2021. 9. 16. 15:58 수정 2021. 9. 16. 17:3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위원회, 정치권 등의 동시다발적인 빅테크 규제 조치와 발언이 이어지면서 네이버, 카카오의 주가가 가파르게 떨어졌지만 주가 하락 폭 등을 보면 카카오가 받은 충격이 더 큰 상태다. 당장 공정위의 칼날이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을 겨누고 있는 것이 큰 이유지만, 사업 구조의 차이도 영향을 미쳤다고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정부와 정치권이 문제 삼는 골목 상권 침해 업종이 카카오가 더 많다는 것이다.

◇공매도 세력 공격까지 받는 카카오

16일 카카오 주가는 전날보다 0.82% 하락한 12만1500원에 마감했지만, 네이버는 오히려 0.37% 오른 40만20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규제 문제가 발생되기 직전인 지난 7일부터 16일까지 네이버의 시가총액은 73조150억원에서 66조339억원으로 10%(6조9811억원) 감소한 반면, 카카오는 68조4848억원에서 54조665억원으로 21%(14조4183억원) 쪼그라들었다. 카카오 시총 감소 규모가 네이버의 2배 이상이다.

주가가 고평가된 종목이 하락할 가능성에 베팅해 수익을 노리는 공매도 세력도 카카오를 집중 공격했다. 지난 8일 카카오 공매도 거래대금은 1759억원이었던 반면, 네이버는 270억원이었다. 카카오는 9일 처음으로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돼 공매도가 전면 금지되기도 했다.

◇증권사 리포트 “네이버 주가 하락 과도”

신한금융투자·현대차증권·한국투자증권 등 증권사들은 지난 13~15일 네이버의 주가 하락이 과도하다는 리포트를 냈다. 반면 카카오에 대해서는 주가 하락 이후 관련 리포트가 1건도 나오지 않았다.

증권사들은 네이버가 정치권이 문제 삼는 골목 상권 침해 업종이 많지 않고 금융 규제 영향도 제한적인 것으로 본다. 네이버페이를 운영하는 네이버파이낸셜 영업수익의 95% 이상이 보험·펀드 등 중개가 아닌 간편결제이어서 이번 규제의 실질 영향은 없을 것으로 평가했다. 반면, 카카오페이의 작년 투자·대출, 보험 매출 비중은 23%로 높아 금융 규제 충격을 고스란히 받았다. 또 공정위 규제 칼날이 카카오 택시 등으로 번지고 있어 카카오로서는 부담이 크다.

카카오가 해결책으로 내놓은 상생안도 장기적으로 주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그간 플랫폼 기업의 주가를 높이던 요소가 ‘플랫폼을 바탕으로 하는 무한한 확장성’이었는데 이를 포기할 경우 성장성에 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신사업 전개를 통한 신규 수익 창출을 더 이상 기대하기 힘들어진다는 뜻이다.

한국투자증권은 “네이버의 경우 아이러니하게도 그간 국내에서 소극적인 사업확장을 하면서 골목 상권 침해와 관련된 이슈에서 비교적 자유롭다”고 평가했다. 신한금융투자은 “네이버는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가 실시한 플랫폼 관련 국정감사 대비 관련 단체 의견 청취 설명회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다음 달 국정감사에서도 빠질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빅테크 성장 체력 고갈됐다 비관론도

전문가들은 정부 플랫폼 규제가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며 네이버와 카카오를 더욱 압박할 것이라 예상한다. 특히 다음 달 국정감사 기간 동안 플랫폼 기업을 지적하는 발언이 더 쏟아져 나올 가능성이 높은 만큼 두 기업에 대한 신규 진입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상상인증권은 “카카오나 네이버의 약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기존 투자자들은 일부를 현금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네이버·카카오의 주가 급락이 규제라는 일회성 요인이 아니라 근본적인 성장 체력 고갈에 따른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DB금융투자는 “카카오 주가는 지난 6월 말 고점에 도달했고, 네이버 주가 역시 이미 7월 말부터 횡보하기 시작했다”며 “상당 기간 주가의 하방 압력이 컸다가 최근 들어 급락한 것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종우 전 IBK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현재 플랫폼 기업 주가는 아무 규제 없이, 최대 이익을 낸다는 가정하에 만들어진 수치다”며 “그 기대 덕분에 카카오 주가가 코로나 발생한 직후보다 5배 이상 높아졌다”고 지적했다. 주가가 오를 때에는 모든 성공 가능성이 주가를 상승에 전부 이용되는데 작은 걸림돌 하나만 나와도 큰 충격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이 전 센터장은 “플랫폼 주가 하락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반대로 네이버와 카카오가 견실한 펀더멘털(기초체력)을 갖고 있고 컨텐츠 분야의 다양한 상승 동력도 있어 단기 급락에 그치고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