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세 부과로 205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최대 0.32%p↓"

신호경 2021. 9. 16. 12: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산화탄소의 실질적 배출량을 '0'으로 줄이기 위해 세계적으로 탄소세가 도입되면 2050년까지 장기적으로 우리나라의 연평균 경제 성장률은 떨어지고 물가 상승률은 오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16일 공개한 '기후변화 대응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탄소세 등의 경제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 대응 활동의 결과로 2050년까지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연평균 0.08∼0.32%포인트(p) 떨어질 것으로 추정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률 최대 0.09%p↑..한은 분석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이산화탄소의 실질적 배출량을 '0'으로 줄이기 위해 세계적으로 탄소세가 도입되면 2050년까지 장기적으로 우리나라의 연평균 경제 성장률은 떨어지고 물가 상승률은 오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16일 공개한 '기후변화 대응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탄소세 등의 경제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 대응 활동의 결과로 2050년까지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연평균 0.08∼0.32%포인트(p) 떨어질 것으로 추정됐다.

지구 평균 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2.0℃ 이내로 억제하는 시나리오에서 연평균 성장률 하락폭은 0.08%포인트였지만, 1.5℃ 이내로 억제해 2050년까지 완전한 탄소 중립을 달성하려면 0.32%포인트의 성장률 하락을 감수해야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두 시나리오에서 소비자물가 연평균 상승률은 같은 기간 각 0.02%포인트, 0.09%포인트 높아진다는 게 한은의 전망이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탄소중립 이행을 완료하는 2050년까지 기후변화 대응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작지 않을 것"이라며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추진에 따라 예상되는 이행 리스크에 대응하고 성장과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은은 "탄소세 수입을 정부의 친환경투자 재원으로 활용할 경우 탄소중립 이행 과정에서 예상되는 성장의 부정적 영향을 상당부분 상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후변화 대응 시나리오별 거시경제 영향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shk999@yna.co.kr

☞ '고발 사주' 의혹 2주 만에 모습 드러낸 손준성 검사
☞ 뱃속 아기 지키려, 항암치료 포기하고 다리 절단한 엄마
☞ 선글라스 다리에 손만 쓱…몰래 찍어도 아무도 몰랐다
☞ 서울 딸한테 묻어온 코로나…옥천 일가족의 쓸쓸한 추석
☞ 아빠찾아 삼만리…홀로 아프간 탈출한 3세 꼬마의 해피엔딩
☞ 아이 이상해 주머니에 녹음기 넣어 등교시켰더니 담임선생님이…
☞ 이영돈PD, '故김영애 황토팩' 등 과거 논란 재소환에 "법적대응"
☞ 미성년 두 딸 200회 성폭행해 임신·낙태…40대 아빠에 징역30년
☞ 좌담회중 돌연 퇴장한 김남국 "조국 얘기에 서럽고 눈물 나서"
☞ 수술 끝난 환자에게 마취제 또 투여해 성추행한 의사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