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를 죽이지 마세요!" 청원글 올린 카카오 주주

강경주 2021. 9. 16. 09: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카카오가 정치권과 소상공인 단체로부터 '골목상권 침해'로 집중 포화를 맞고 있는 가운데 '카카오를 죽이지 마세요'라는 제목의 청와대 국민청원글이 올라왔다.

자신을 카카오 이용자이자 주주라고 밝힌 청원인은 지난 15일 글을 올려 "많은 편의를 제공하는 카카오를 독점 기업으로 폄하하지 말라"며 카카오에 대한 규제 움직임이 지나치다고 주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카카오를 독점 기업으로 폄하말라"
"반짝거리고 신기한 서비스 많아"
[사진=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캡처]


카카오가 정치권과 소상공인 단체로부터 '골목상권 침해'로 집중 포화를 맞고 있는 가운데 '카카오를 죽이지 마세요'라는 제목의 청와대 국민청원글이 올라왔다.

자신을 카카오 이용자이자 주주라고 밝힌 청원인은 지난 15일 글을 올려 "많은 편의를 제공하는 카카오를 독점 기업으로 폄하하지 말라"며 카카오에 대한 규제 움직임이 지나치다고 주장했다. 해당 청원은 16일 오전 9시 기준 약 1000명이 동의했다.

청원인은 "큰 문제 없이 잘 성장하던 주식이 실적에 아무 문제도 없는데 정부 여당 국회의원의 몇 마디에, 금융위원장의 한 마디에 와르르 무너지고 있다"며 아쉬움을 털어놨다.

이어 "카카오택시(카카오T)가 나오기 전 택시기사나 손님들은 콜택시 업주들에게 얼마나 많이 콜비(호출비)를 뜯겼나. 콜택시 업주들 사업 망친 게 그렇게 문어발 확장인가"라며 "카카오가 기업인데 맨날 무료 서비스만 해주고 땅 파서 장사하라고 해야 하나"고 꼬집었다.

청원인은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 카카오쇼핑, 최근 나오는 카카오 톡비서 등 카카오는 젊은 IT(정보기술)인들이 아이디어가 반짝거리고 신기해서 이용하는 서비스가 많다"며 "카카오 독재 철폐를 외치는 고승범 금융위원장이나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과연 카카오를 얼마나 이용해 봤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겸 이사회 의장(오른쪽)이 카카오 대표 캐릭터 '라이언'과 포즈를 취하는 모습 [사진=카카오 제공]


카카오를 향한 규제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카카오가 지난 5년 동안 대한민국 국민의 삶을 편하게 해준 역할이 얼마나 많았는데 갑자기 독점 기업으로 몰아가냐"며 "이런 기업을 구태의연하게 자기들 기득권만 주장하는 기존 상권들에게 무릎 꿇리게 하는 게 혁신을 외치고 4차산업 육성을 외치는 문재인 정부가 해야 할 역할이냐"고 덧붙였다.

또 "코로나 시대에 플랫폼 기업들이 없었다면 과연 대한민국 정부가 그렇게 자랑하는 'K-방역'이 있었겠나. 필요할 때는 기업들에 그렇게 손을 벌리면서 표심 앞에서는 그렇게 한 기업을 무참하게 밟아 버리냐"고도 했다.

그러면서 "카카오나 네이버 같은 플랫폼 회사를 이렇게 정치적인 희생물로 만든다면 어떤 후발 플랫폼 회사가 또 나올수 있겠는가"라면서 "국민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했던 카카오를 독점 기업으로 폄훼하지 말고 이 나라의 젊은 세대가 꿈꾼 세상을 망가뜨리지 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