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국내 담수에서 유해 적조 제어 신종 미생물 발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유해 적조인 헤테로캅사 트리쿼트라(Heterocapsa triquetra) 사멸에 효과를 보이는 신종 미생물 '피브리비르가 알지콜라(Fibrivirga algicola)'를 발견했다고 15일 밝혔다.
정상철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미생물연구실장은 기관의 설립 취지인 미생물 자원의 확보 및 활용을 위해 "신종 미생물을 발굴해 유해 적조 사멸 효과를 밝힌 것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상주)=김병진 기자]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유해 적조인 헤테로캅사 트리쿼트라(Heterocapsa triquetra) 사멸에 효과를 보이는 신종 미생물 '피브리비르가 알지콜라(Fibrivirga algicola)'를 발견했다고 15일 밝혔다.
헤테로캅사 트리퀴트라는 국내 남해 및 서해 지역에서 발생되는 적조현상을 일으키는 유해조류 중 하나다.
연구진은 국내 생물자원 확보 및 활용을 위해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금강권역 하천에서 미생물 자원을 확보하는 중 신종 미생물을 발견했다.
발굴된 신종 미생물의 녹조(Microcystis aeruginosa) 및 적조(Heterocapsa triquetra)를 유발하는 유해조류 대상으로 실험실 조건에서 살조 효과를 조사한 결과, 적조에 대해서만 직접적으로 강한 사멸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사멸효과는 신종 미생물의 배양액만을 분리해 첨가한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균체 농도 1.5mg/mL 이상에서 최대 4일 이내 80% 이상 사멸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미생물 피브리비르가 알지콜라의 유전체 분석 결과, 호염성 세균에서 발견되는 빛을 에너지로 사용하는 박테리오로돕신 및 항적조 물질관련 유전자가 발견됐다.
연구진은 발견한 신종 미생물의 항적조 효과를 특허 출원했으며 신종 등록을 위해 국제학술지(Antonie van Leeuwenhoek) 투고를 완료했다.
정상철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미생물연구실장은 기관의 설립 취지인 미생물 자원의 확보 및 활용을 위해 "신종 미생물을 발굴해 유해 적조 사멸 효과를 밝힌 것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kbj7653@heraldcorp.com
(본 기사는 헤럴드경제로부터 제공받은 기사입니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경주시, '시민이 감동하는 소통과 섬김 행정' 실현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2016 한국원자력연차대회' 개최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2016학년도 입학식' 개최
- 구미시 산후조리원 종사자 결핵예방사업 확대 추진
- 포스코, '2016년 포스코청암상' 수상자 선정
- '김연아♥'고우림, 하늘에서 패러글라이딩 고백 "와이프 사랑한다"
- 배우 엄현경, 엄마된다...아빠는 군대 간 차서원
- "과자 1봉지 7만원"…1박2일 멤버 지갑 털은 '전통시장 바가지'
- 백종원, 5일만에 나폴리 접수…저녁 매출 231만원 달성
- 강남 집단 성관계 '관전 클럽' 주선한 업주, 집유…손님 26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