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시 대담] 청년 양용찬이 우리에게 남긴 과제는?

KBS 지역국 2021. 9. 15. 19: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제주] [앵커]

KBS에서는 지난 주 제주도개발특별법 30년의 역사를 조명한 보도특집과 기획뉴스를 전해드렸죠,

제주도개발특별법 30년 역사 속 수많은 인물 가운데 우리가 빼놓을 수 없는 상징적인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청년 양용찬입니다.

오는 11월7일 청년 양용찬이 투신한지 꼭 30년을 맞는데요,

오늘 7시 대담에선 양용찬열사추모사업회 홍경남 이사와 함께 제주도개발특별법 30년과 양용찬 열사가 제주사회의 남긴 의미를 되짚어봅니다.

안녕하세요?

25살 청년 양용찬이 분신한지 30년이 됩니다.

소회를 전해 주신다면?

[앵커]

이사님은 고인과 친구이기도 하셨죠. 청년 양용찬, 어떤 사람으로 기억하시나요?

[앵커]

당시 정부가 제주도개발특별법을 추진하면서 20대 꽃다운 청년이 목숨을 던져 저항했는데, 그만큼 절박한 상황이었던 건가요?

[앵커]

구체적으로, 당시 제주도개발특별법, 어떤 문제를 안고 있었다고 보시나요?

[앵커]

당시 정권은 왜 제주도개발특별법 통과를 밀어부쳐다고 보시나요?

[앵커]

청년 양용찬의 희생을 비롯한 도민들의 저항으로 얻은 성과가 있다면?

[앵커]

1990년대 제주도개발특별법은 이후에는 제주국제자유도시특별법으로 바뀌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데,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앵커]

그렇다면 현재의 제주특별법, 어떻게 바꿔나가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앵커]

청년 양용찬이 목숨을 내걸고 지키려 했던 제주, 지금 살아서 제주를 봤다면 어떤 심정일까요?

[앵커]

양용찬 열사 서거 30주기를 맞아 30주년 공동행사위원회가 출범했죠,

준비하고 계신 추모 행사가 있다면?

[앵커]

끝으로 전하고 싶은 말씀은?

[앵커]

네, 오늘 출연 감사드립니다.

KBS 지역국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