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亞디지털경제가 내년 세계 성장 이끌것"

김정환 2021. 9. 15. 17:5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日도쿄대 사와다 야스유키
"코로나가 亞디지털화 앞당겨"
韓KDI대학원 조동철
"물가상승 위험한 상황 아니다"
中베이징대 린이푸
"美, 중국 압박 완화할 수밖에"

◆ 세계지식포럼 / 2022 경제전망 ◆

15일 열린 세계지식포럼 `글로벌 경제 전망 2022: 최고 이코노미스트 열전` 세션에서 조동철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오른쪽)가 경제 전망을 말하고 있다. 화면에서는 린이푸 베이징대 국가발전연구원 명예원장(왼쪽)과 사와다 야스유키 일본 도쿄대 교수가 이야기를 듣고 있다. 단상 왼쪽은 좌장을 맡은 테리 마르틴 앵커. [한주형 기자]
한·중·일 대표 경제학자들은 미국 재정·통화정책 기류 변화로 내년 세계 경제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보면서도 아시아가 주도하는 디지털 경제가 포스트 팬데믹 시대 버팀목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사와다 야스유키 일본 도쿄대 교수는 15일 열린 제22회 세계지식포럼 '글로벌 경제 전망 2022: 최고 이코노미스트 열전' 세션에서 "아시아에서는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도 급속한 경제 디지털화가 진행됐는데 팬데믹 국면으로 재택근무, 전자상거래 등 속도가 더 빨라졌다"며 "앞으로 아시아 경제가 회복이 더 강하게 이뤄질 수 있을지를 결정짓는 요인은 디지털 경제"라고 말했다.

아시아가 디지털 경제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는데 아직 온라인 상거래 규모 등이 미국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어 성장 잠재력이 더 크다는 진단이다.

사와다 교수는 "2025년까지 디지털 경제로 인해 전 세계 생산성이 4조3000억달러 이상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데 이 가운데 아시아 지역에서는 1조7000억달러 규모의 경제 효과가 나올 전망"이라며 "2022년 경제에서 아시아의 디지털 경제 성장은 굉장히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도 "팬데믹 사태 이후에는 지금까지 기술 혁신이 진행됐던 비대면 언택트 산업 양상이 완전히 달라지게 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다만 디지털 경제 전환에 따라 전통 산업 타격이 우려된다는 지적도 나왔다. 린이푸 중국 베이징대 국가발전연구원 명예원장(교수)은 "소비가 비슷한 상황에서 전자상거래로 더 많이 소비한다면 대면 소비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전반적으로는 소비에 불확실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내년 거시경제를 놓고 보면 저금리 유동성 환경에 급격히 증가한 자산시장 열기가 잦아들 것이라는 전망이 주류를 이뤘다.

린이푸 교수는 "2008년 금융위기 전 다우지수가 1만 선이었을 때도 너무 고점 아니냐는 시장의 우려가 있었는데 지금은 3만4000선까지 올랐다"며 "미국 주식 등 자산시장이 상당히 고조됐다"고 부정적 전망을 피력했다. 자산가격 급등은 한국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2017년만 해도 우리나라 경제 규모(명목 국내총생산)의 7.8배였던 국민순자산은 지난해 9.2배까지 크게 뛰어올랐다. 단기간 부동산과 금융자산 가격이 급격히 상승한 데 따른 것이다.

린이푸 교수는 "높은 자산가격이 유지됐던 것은 결국 낮은 금리 때문"이라며 "미국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이후 금리 인상이 단행된다면 분명히 자산 가격의 조정이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제 구루들은 올해 급등세가 두드러졌던 물가에 대해 최근 압박이 강했다는 점은 인정하면서도 크게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평가를 내놨다.

조 교수는 "미국 등 물가 상황이 팬데믹 이전보다는 높게 나오겠지만 걱정할 수준은 아니며 오히려 성공적인 통화정책의 결과로도 해석할 수도 있다"면서 "팬데믹 사태 이전에 선진국 중앙은행들은 시장의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너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게 목표였다"고 환기했다. 조 교수는 비슷한 이유로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에 물가 급등이 겹친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도 작다고 일축했다.

이날 전문가들은 악화 일로를 걸었던 미·중 통상 분쟁은 어느 정도 진정될 것으로 봤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중국만큼 저렴한 가격으로 미국에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대체 국가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린이푸 교수는 "중국 수입을 더 줄이면 팬데믹 국면에서 미국 인플레이션 압력이 더 커질 수 있다"며 "미국이 강력한 대(對)중국 제재 조치를 어느 정도는 완화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김정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