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단지 분양가 책정 때 규모 비슷한 인근 시세 반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민간의 주택 공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고(高)분양가 관리 방식을 개선하기로 했다.
HUG는 고분양가 관리 지역 내 분양 보증 심사 때 비교 사업장 분양가와 인근 시세 등을 고려해 분양가 적정성을 판단한다.
현재는 인근 지역 모든 단지의 평균 시세를 반영해 분양가를 산정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단지 규모와 브랜드가 비슷한 단지 시세를 선별적으로 적용해 분양가를 선정할 방침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민간의 주택 공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고(高)분양가 관리 방식을 개선하기로 했다. 신규 단지 분양가 책정 때 규모와 브랜드 인지도가 비슷한 인근 단지 시세를 반영해 분양가를 적정 수준으로 맞춘다는 게 골자다. 분양가 상한제 적용 지역의 분양가 심사 때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재량권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분양가 심의 기준도 구체적으로 공개한다.
국토교통부는 15일 “HUG의 고분양가 심사 및 분양가 상한제와 관련한 민간 건의사항을 반영해 불합리한 부분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정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2월 HUG의 고분양가 심사 기준을 전면 개편했지만, 건설업계에선 분양가 산정 기준 등에 대한 개선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돼왔다. HUG는 고분양가 관리 지역 내 분양 보증 심사 때 비교 사업장 분양가와 인근 시세 등을 고려해 분양가 적정성을 판단한다.
현재는 인근 지역 모든 단지의 평균 시세를 반영해 분양가를 산정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단지 규모와 브랜드가 비슷한 단지 시세를 선별적으로 적용해 분양가를 선정할 방침이다. HUG는 이달 고분양가 심사 매뉴얼 개정 작업을 마무리해 발표할 예정이다.
지자체마다 분양가 인정 항목, 심사 방식 등이 달라 불확실성이 컸던 분양가 상한제 심의 기준도 구체화하기로 했다. 다만 분양가 상한제의 기존 틀은 그대로 유지하는 만큼 서울 아파트 분양가를 어느 정도 끌어올려 공급을 정상화시킬지는 불투명하다.
하헌형 기자 hhh@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침 거르고 패스트푸드 자주 먹는 중고생들 위험하다 [건강!톡]
- "가성비 최고"…러시아 SNS서 인기 폭발한 한국 치약
- "주문 2개월치 밀려"…K트랙터, '본토' 미국 시장 잡았다
- 잘나가던 '아이오닉5' 브레이크 걸렸다…현대차에 무슨 일이
- 이병헌·하지원보다 '핫'한 이 장면…SNL 제대로 통했다
- 고은아, 피부병 극복…김연경 뺨치는 점프력 [TEN★]
- '오뚜기3세' 함연지, 옷은 2만원인데 집은 번쩍번쩍 대리석 [TEN★]
- '3살 연하 의사♥' 이정현, 명품 H사 토트백 들고 고개 살짝 꺽어 우아美 "여름" [TEN★]
- [종합] 문근영, 컴백 연기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 프로포폴 실형 면한 하정우, '경제적 손실' 주장대로 활동 강행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