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8월 수출 47.6% 증가..5개월 내리 두 자릿수↑

오수희 2021. 9. 15. 15: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8월 부산지역 기업 수출실적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갔다.

15일 부산본부세관에 따르면 지난달 부산 기업 수출 실적은 11억9천400만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8월 수출 실적(8억900만달러)과 비교하면 47.6% 증가했다.

부산 수출실적은 지난 4월 이후 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성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철강제품 수출 호조..무역수지 1억1천200만달러 적자
부산본부세관 전경 [촬영 조정호]

(부산=연합뉴스) 오수희 기자 = 8월 부산지역 기업 수출실적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갔다.

15일 부산본부세관에 따르면 지난달 부산 기업 수출 실적은 11억9천400만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8월 수출 실적(8억900만달러)과 비교하면 47.6% 증가했다.

부산 수출실적은 지난 4월 이후 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성장했다.

지난달 부산 수입실적은 지난해 8월 실적(9억4천만달러)과 비교해 39% 늘어난 13억600만달러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1억1천2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품목별 수출 실적을 보면 승용자동차(186.9%), 자동차부품(65.0%), 철강제품(55.0%), 전기·전자제품(43.2%), 기계류· 정밀기기(16.5%), 화공품(23.1%) 등이 모두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중남미(101.7%), 미국(67.1%), 유럽연합(52.3%), 중국(27.4%), 동남아(12.4%), 일본(10.9%) 등 대부분 지역으로의 수출이 늘어났다.

컨테이너 화물로 가득한 부산항 연합뉴스 자료 사진

수입도 소비재(7.0%), 원자재(73.3%), 자본재(35.0%) 모두 증가했다.

소비재 중 승용차, 곡물 수입은 감소했지만 의류, 가전제품, 어류, 조제식품 수입은 늘어났다.

원자재 수입은 지난해 8월 실적에 비해 73.3% 증가했다.

연료, 철강재, 광물, 비철금속, 경공업원료, 화공품, 섬유류 수입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자본재 수입은 기계류와 정밀기기 등은 감소했지만 선박, 전기·전자기기, 자동차 부품 수입이 증가해 지난해 같은 달 실적과 비교하면 35.0%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중남미(116.2%), 동남아(52.7%), 일본(52.5%), 중국(43.0%), 미국(10.0%)에서의 수입은 늘어난 반면 유럽연합에서의 수입은 2.7% 감소했다.

osh9981@yna.co.kr

☞ 뱃속 아기 지키려, 항암치료 포기하고 다리 절단한 엄마
☞ 서경석에 불똥 튄 중개수수료 갈등…광고 중도 하차
☞ 선글라스 다리에 손만 쓱…몰래 찍어도 아무도 몰랐다
☞ 하루만에 돌고래 1천428마리 대학살…페로 제도서 무슨일이
☞ 정글서도 41년 살아남은 '타잔', 문명사회 복귀후 간암 사망
☞ 아이 이상해 주머니에 녹음기 넣어 등교시켰더니 담임선생님이…
☞ 88세 노인, 성적 접촉 거부한 아내 몽둥이로 폭행해 뇌출혈
☞ 북한 '최고 아나운서' 리춘히가 받는 특급 대우는
☞ 1학년 교실까지 뻗친 칼부림…피 흘리며 들어와 "도와달라"
☞ 술 취해 아버지 때려 살해한 아들…범행 후 거실서 '쿨쿨'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