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상생안 발표 다음날 '자화자찬' 성과 공개한 네이버·구글

이유진 기자 2021. 9. 15. 14:5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네이버(위)와 구글 로고


카카오가 3000억원 규모의 소상공인 상생기금 조성을 발표한 바로 다음날에 네이버·구글이 그간의 상생 성과와 일자리 창출 효과를 강조하고 나섰다. 국내외 빅테크 기업에 대한 당국의 전방위 제재와 더불어 불공정 거래 행위로 인한 갑질 이슈 등으로 여론이 악화하면서 이미지 쇄신에 나선 모양새다. 일각에선 “자화자찬 대신 진정성 있는 대책 마련이 우선”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네이버는 15일 소상공인과 창작자들의 성장을 돕기 위해 2017년 조성한 ‘분수 펀드’의 금액이 4년 만에 3000억원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네이버에 따르면 분수펀드는 첫해 609억원에서 지난해 861억원까지 지속해서 확대 조성되고 있으며, 올해는 8월 말 기준 약 500억원이 집행됐다. 이 펀드는 네이버가 소상공인의 창업을 지원하고 숨은 예술가의 가치를 발굴해 일종의 ‘분수효과’를 일으키겠다는 목표로 시작한 ‘프로젝트 꽃’의 기반 역할을 한다.

네이버는 펀드 자금을 활용해 교육 공간인 파트너스퀘어를 전국 6개 지역에 설립하고, 코로나19 확산 이후에는 300여건의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사업자와 창작자가 데이터 기반으로 성장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다양화하는 데도 자금을 활용하고 있다고 네이버는 설명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46만 온라인 창업자와 200만에 달하는 오프라인 SME(중소상공인), 다양한 분야의 창작자들이 네이버와 함께하는 성과를 이뤘다”고 설명했다.

김경훈 구글 코리아 사장이 15일 온라인으로 열린 ‘구글 포 코리아’ 행사에서 구글의 경제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유튜브 캡쳐
15일 온라인으로 열린 ‘구글 포 코리아’ 행사의 한 장면. 구글은 이 행사에서 한국 경제에 미친 긍정적 효과를 알리는 데 주력했다. 일각에선 갑질 이슈 등에 대한 언급 없이 성과만 나열한 ‘자화자찬 쇼’라는 비판도 나왔다. 유튜브 캡쳐


한국을 포함해 세계 각국의 규제에 직면한 구글도 일자리 창출 등 한국 경제에 미친 긍정적 효과를 알리는 데 주력했다.

수잔 워치스키 유튜브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온라인 개최한 ‘구글 포 코리아’ 행사에서 “지난해 유튜브 창작 생태계는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에 1조5970억원을 기여했고 8만6030개의 정규직 일자리 창출 효과를 가져왔다”라고 밝혔다. 구글은 글로벌 경제분석기관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와 함께 유튜브의 경제 효과를 이처럼 추산했다.

유튜브가 광고·음악 등 수익을 지급하면 음향·촬영 장비를 제조·유통하는 업체의 매출이 올라가고 전반적인 소비 활성화로 이어지면서 직·간접적 경제 효과를 창출한다는 것이다.

구글은 또 한국 소비자에 제공하는 편익이 연간 11조9000억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한국 앱 개발사가 구글의 앱마켓 구글플레이를 통해 올리는 매출 3조5000억원 등을 포함해 한국 기업이 받는 사업적 편익도 연 10조5000억원에 달한다고 구글은 자체 집계했다.

구글은 전날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경쟁 OS(운영체제)의 시장 진입을 방해하고 혁신을 저해한 혐의로 과징금 2074억원을 부과받았다. 같은 날 인앱 결제 강제를 금지하는 이른바 ‘구글 갑질 방지법’(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이 세계 최초로 시행되기도 했다.

구글은 이날 행사에서 이러한 규제 이슈에 대한 입장과 계획은 내놓지 않은 채 자신들의 성과와 영향력을 나열하는 모습을 일관했다. 이 때문에 “자화자찬 쇼”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한 IT업계 관계자는 “네이버는 검색 알고리즘을 이용해 자사 우대 행위를 했다 공정위로부터 제재를 받는 등 독점적 플랫폼 지위를 활용해 문제가 됐다”며 “구글 역시 다양한 갑질로 시장 영향력을 강화했다는 것이 정부 조사로 드러나고 있다. 이런 부분에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나 대책 마련 없이 일부 성과를 앞세워 문제의 본질을 흐리는 것은 규제 패러다임 전환에 적합한 대응이 아니”라고 말했다.

이유진 기자 yjle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