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취업자수 늘어도..'직원 둔 자영업자'는 31년만에 최저
세종=구특교기자 입력 2021. 9. 15. 14: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직원을 둔 자영업자' 수가 31년 만에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취업자 수는 6개월 연속 증가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며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업 등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줄며 자영업자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24만3000명), 건설업(12만3000명) , 운수·창고업(10만7000명) 등에선 취업자 수가 증가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직원을 둔 자영업자’ 수가 31년 만에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취업자 수는 6개월 연속 증가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며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업 등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줄며 자영업자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5일 통계청의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60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51만8000명 증가했다. 3월(31만4000명) 이후 6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다. 다만 증가폭은 4개월째 줄어드는 추세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대면 업종을 중심으로 취업자 감소가 확대됐지만 코로나19의 1~3차 확산 때와는 달리 (7월 4차 확산 이후) 취업은 일부 업종에 제한적인 영향을 미쳤다”라고 밝혔다.
산업별로는 대면 서비스 업종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 감소가 두드러졌다. 도·소매업에서 지난해 동기보다 11만3000명, 숙박·음식업에서 3만8000명이 줄었다.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며 대면 서비스업의 타격이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파업 등 조업 중단의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도 작년 동기보다 7만6000명 감소했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12월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많이 줄어 들었다. 반면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24만3000명), 건설업(12만3000명) , 운수·창고업(10만7000명) 등에선 취업자 수가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3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취업자 수가 증가했다. 반면 30대 취업자 수는 작년 동기보다 8만8000명 감소하며 18개월째 감소하고 있다. 30대의 고용이 부진한 이유는 기본적으로 30대 인구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는 데다 30대가 주로 종사하는 도·소매업 등 비대면 업종에서 취업자 수가 줄었기 때문이다.
특히 자영업자 가운데는 직원을 둔 자영업자들이 큰 영향을 받고 있다. 지난달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30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6만1000명(4.5%) 줄었다. 8월 기준으로 1990년(119만3000명) 이후 31년 만에 가장 적었다. 2018년 12월부터 33개월 연속 감소세로 이는 역대 최장 기간이다. 반면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인 ‘나홀로 사장’은 지난해 동기보다 5만6000명 늘었다. 최근 방역 조치가 강화되며 키오스크 등 무인 판매가 늘고 정보기술(IT) 발달과 함께 플랫폼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비대면 소비가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날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월 고용동향 지표에 대해 “방역 위기 이전 수준에 한발짝 근접했다”라며 “9월에도 방역 상황이 여전히 어려운 만큼 향후 상황을 예의주시하겠다”라고 평가했다.
15일 통계청의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60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51만8000명 증가했다. 3월(31만4000명) 이후 6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다. 다만 증가폭은 4개월째 줄어드는 추세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대면 업종을 중심으로 취업자 감소가 확대됐지만 코로나19의 1~3차 확산 때와는 달리 (7월 4차 확산 이후) 취업은 일부 업종에 제한적인 영향을 미쳤다”라고 밝혔다.
산업별로는 대면 서비스 업종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 감소가 두드러졌다. 도·소매업에서 지난해 동기보다 11만3000명, 숙박·음식업에서 3만8000명이 줄었다.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며 대면 서비스업의 타격이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파업 등 조업 중단의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도 작년 동기보다 7만6000명 감소했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12월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많이 줄어 들었다. 반면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24만3000명), 건설업(12만3000명) , 운수·창고업(10만7000명) 등에선 취업자 수가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3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취업자 수가 증가했다. 반면 30대 취업자 수는 작년 동기보다 8만8000명 감소하며 18개월째 감소하고 있다. 30대의 고용이 부진한 이유는 기본적으로 30대 인구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는 데다 30대가 주로 종사하는 도·소매업 등 비대면 업종에서 취업자 수가 줄었기 때문이다.
특히 자영업자 가운데는 직원을 둔 자영업자들이 큰 영향을 받고 있다. 지난달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30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6만1000명(4.5%) 줄었다. 8월 기준으로 1990년(119만3000명) 이후 31년 만에 가장 적었다. 2018년 12월부터 33개월 연속 감소세로 이는 역대 최장 기간이다. 반면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인 ‘나홀로 사장’은 지난해 동기보다 5만6000명 늘었다. 최근 방역 조치가 강화되며 키오스크 등 무인 판매가 늘고 정보기술(IT) 발달과 함께 플랫폼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비대면 소비가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날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월 고용동향 지표에 대해 “방역 위기 이전 수준에 한발짝 근접했다”라며 “9월에도 방역 상황이 여전히 어려운 만큼 향후 상황을 예의주시하겠다”라고 평가했다.
세종=구특교기자 kootg@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94세’ 송해, 체중 7kg 줄어든 근황 공개 “전국노래자랑 후임 MC 정해뒀다”
- 심상치 않은 탈레반 지도층…1인자 자취 감추고 2인자 카불 떠났다
- 합참 “北, 동해상으로 미상 탄도미사일 발사”
- 국민의힘, 1차 컷오프 8명 발표…윤석열·홍준표·유승민·최재형 등 통과
- 추미애 “손준성 임명 때 靑에 엄호 세력” 발언에 靑 “말씀 드릴 사안 아냐”
- [속보] 합참 “北, 동해상으로 미상발사체 발사”
- 文대통령, 北발사체 보고받아…靑, NSC 상임위 소집
- 이준석 “냉정하게 현재 與에 지고 있다…내일 선거면 못 이겨”
- 피투성이 40대男 수업 중 교실 난입…아이들 긴급대피
- 만취해 80대 父 마구 때려 숨지게 한 아들…말리던 母도 ‘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