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취업자 52만명 늘었지만..제조업·도소매업 타격
[앵커]
코로나19 4차 대유행에도 취업자 증가세가 6개월째 이어졌습니다.
다만 증가폭은 넉 달째 줄었고 제조업과 도소매업의 고용 감소, 그리고 자영업의 위축세가 이어졌습니다.
이동훈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에 비해 51만8,000명 늘어 코로나 4차 대유행에도 여섯 달째 증가세가 이어졌습니다.
다만 증가폭은 지난 4, 5월 60만명대에서 6월 58만명대로 줄더니 7월엔 54만명대, 지난달에는 51만명대로 감소했습니다.
8월엔 정부 공공일자리 사업 인원을 포함한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24만3,000명이 늘며 증가세를 이끌었고 건설업에서 12만명이 늘었습니다.
또, 배달 등 비대면 거래 증가에 힘입어 운수·창고업이 10만7,000명 늘며 뒤를 이었습니다.
반대로 도·소매업은 11만3,000명, 예술·스포츠·여가 관련서비스업은 4만3,000명 줄어드는 등 대면 서비스업의 고전은 여전했습니다.
7월 소폭 증가세를 보였던 제조업은 자동차 파업 같은 조업 중단 영향에 7만6,000명 줄어 8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습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은 37만7,000명 늘며 전 연령대 중 최대 증가폭을 보인 반면 30대는 8만8,000명 줄어 18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자영업자의 경우 직원이 없는 사업자가 5만6,000명 늘었고 직원을 둔 사업자는 6만1,000명 줄어 코로나 충격이 계속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같은 경향은 키오스크 등을 이용한 무인 판매 증가와 여름 휴가 성수기인 8월에도 자영업자가 많은 숙박·음식점이 부진했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편 정부는 지난달 취업자 수가 코로나 이전 고점인 작년 2월의 99.6%를 기록했다며 방역 위기 이전 수준에 근접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저작권자(c)연합뉴스TV.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다다를 인터뷰] 대구 복싱장 '촉감놀이 성추행' 뒤 피해 아동 몽유병 증상까지…
- [배달잇슈] 징역 7년 선고에 항소…'강남 스쿨존 사고' 이 군 아버지의 심정
- 러 "미국, 아이폰으로 스파이 활동"…애플, 부인
- 일본, 저출산 대책에 연간 35조원 투입…수당 확대
- 바다도 "앗 뜨거"…올여름 고수온 주의보
- 바이든, 공식 행사 중 또 '꽈당'…트럼프 "조심했어야"
- 미국·대만, 40여년 만에 최대 규모 무역협정…중국 강력 반발
- 전기 10% 절약시 작년 요금으로…에너지캐시백 확대
- 분유·기저귀 훔친 40대 미혼모에 경찰관이 도움의 손길
- 4만원짜리 군수품 가져간 육군 중령…법원 "횡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