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사업자, 아파트 유지·보수공사 입찰참여 길 넓어진다

이보배 2021. 9. 15. 1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규 사업자들이 아파트 등 공동주택 유지·보수공사와 용역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이 넓어진다.

입찰 참가 자격으로 너무 높은 실적 기준을 요구하는 바람에 소수의 사업자만 입찰 참여가 가능해지고, 이들 회사끼리 서로 들러리를 서주는 방식의 담합 관행이 이뤄진 것이다.

실제 지난해 공동주택 보수공사·용역 입찰에서 실적 기준을 통해 사업자를 선정한 공사·용역 규모는 총 3조3천219억원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파트 건설 (PG) [장현경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세종=연합뉴스) 이보배 기자 = 신규 사업자들이 아파트 등 공동주택 유지·보수공사와 용역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이 넓어진다.

공정거래위원회와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으로 '주택관리업자 및 사업자 선정지침' 개정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고 15일 밝혔다. 의견 수렴을 거쳐 연내에 개정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입찰 참가 자격을 정하는 방법 중 하나인 '제한경쟁입찰'에서 과거 공사·용역 실적을 요구하는 경우 실적 인정 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늘리기로 했다. 실적은 단기간에 충족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해서다.

또 낙찰자를 정하는 방법 중 하나인 '적격심사제'에서는 업무실적 평가에서 만점을 받을 수 있는 실적 건수를 최대 10건에서 5건으로 줄이기로 했다.

이 같은 개정은 공정위가 2018년 이후 총 52건의 관련 사건을 제재하면서 구조적 원인을 발견하면서 추진됐다.

입찰 참가 자격으로 너무 높은 실적 기준을 요구하는 바람에 소수의 사업자만 입찰 참여가 가능해지고, 이들 회사끼리 서로 들러리를 서주는 방식의 담합 관행이 이뤄진 것이다.

실제 지난해 공동주택 보수공사·용역 입찰에서 실적 기준을 통해 사업자를 선정한 공사·용역 규모는 총 3조3천219억원이었다.

[공정거래위원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bobae@yna.co.kr

☞ 서경석에 불똥 튄 중개수수료 갈등…광고 중도 하차
☞ 선글라스 다리에 손만 쓱…몰래 찍어도 아무도 몰랐다
☞ 하루만에 돌고래 1천428마리 대학살…페로 제도서 무슨일이
☞ 정글서도 41년 살아남은 '타잔', 문명사회 복귀후 간암 사망
☞ 1학년 교실까지 뻗친 칼부림…피 흘리며 들어와 "도와달라"
☞ 88세 노인, 성적 접촉 거부한 아내 몽둥이로 폭행해 뇌출혈
☞ 아이 이상해 주머니에 녹음기 넣어 등교시켰더니 담임선생님이…
☞ 조리원 확진 신생아들 열악한 격리환경 논란…"온수도 안나와"
☞ 어린 자녀 5명 남겨두고 코로나로 2주 간격 숨진 부부
☞ 북한 '최고 아나운서' 리춘히가 받는 특급 대우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