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북스 출판사, '식당 알바부터 사장까지' 출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바른북스 출판사가 저자 김태진의 서적 '식당 알바부터 사장까지'를 출판했다고 밝혔다.
20대 외식업 알바부터 시작해 30대 외식업 사장이 됐다.
한 분의 대표님을 만나면서 함께해 왔던 십 년간의 이야기와 알바부터 점장, 사장이 돼서 있었던, 봤던, 해왔던 일들에 대한 생생한 현장의 경험담을 담은 이야기다.
저자 김태진은 21살 나이에 식당에 알바로 입사해 직원, 주방 관리자, 점장을 거쳐 현재 30대 후반의 사장이 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바른북스 출판사가 저자 김태진의 서적 ‘식당 알바부터 사장까지’를 출판했다고 밝혔다.
◇책 소개
20대 외식업 알바부터 시작해 30대 외식업 사장이 됐다.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순간, 누구를 만나느냐에 따라 인생이 달라진다는 얘기가 있다. 한 분의 대표님을 만나면서 함께해 왔던 십 년간의 이야기와 알바부터 점장, 사장이 돼서 있었던, 봤던, 해왔던 일들에 대한 생생한 현장의 경험담을 담은 이야기다. 외식업을 하고 싶거나, 외식업에 몸담고 있거나, 직원과 점장과 사장의 사이에서 고민이 많고 경험과 소통이 필요한 분들을 위한 책이다.
◇저자
저자 김태진은 21살 나이에 식당에 알바로 입사해 직원, 주방 관리자, 점장을 거쳐 현재 30대 후반의 사장이 됐다. 이 책은 10여 년의 식당 경험과 성과들을 일하면서 겪었던 시행착오와 느꼈던 점, 배웠던 점 등을 직원과 점장 그리고 사장이 된 지금의 시선에서 써 내려간 글이다. 외식업 창업을 희망하거나 사장이 되고 싶거나, 멋진 점장이 되고 싶거나, 외식업이 꿈이신 분들에게 그 10여 년간의 내용을 소통하려 한다. 즐겁고 절실하게, 반드시 이루겠다는 확신과 열정을 가지고 있고 그 확신과 열정으로 인해 많은 것들을 실행하면서 외식업에 근무하면 반드시 결실을 맺을 수 있다는 희망을 전하고 싶다. 슬기로운 식당 생활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어떤 생각으로 하루를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동기부여가 됐으면 한다.
알바로 입사해 한 분의 고마우신 사장님을 만나게 돼 점장, 본부장 자리까지 맡아서 해왔다. 점장일 때 연 20억원 이상 매출을 기록했고, 여러 매장의 안방을 지켜가며 지금의 사장 자리에 오게 됐다. 현재는 경남 창원에서 작은 가게인 ‘마련그림’ 한식집을 경영하고 있다. 마련그림은 설계도의 순우리말로 세련된 한상차림을 계절과 수확되는 작물들의 시기에 따라 바뀌고, 고객의 건강을 설계하고 직원들의 인생과 나의 인생을 설계해 나가겠다는 뜻이다. 매장 규모는 작지만, 음식의 퀄리티와 내공들은 자부심을 가지고 함께 오랫동안 해온 전문 메뉴개발팀과 함께 다음 미래를 위해 현재 진행 중이다.
바른북스 개요
바른북스는 책 한 권 한 권에 세상을 바꾸고 한 걸음 더 나아가게 하는 힘이 있다고 믿는 출판사다. 젊고 실력 있는 전문가들이 좋은 원고가 책이 돼 세상과 만날 때까지 온 힘을 쏟고 있다.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출처:바른북스
보도자료 통신사 뉴스와이어(www.newswire.co.kr) 배포
Copyright (c) 코리아뉴스와이어,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 플리토, 챗봇용 언어 데이터 1일 수집량 50만건 돌파
- 영창케미칼, 반도체 핵심 공정용 신소재 2종 양산… 1분기부터 매출 반영 기대
- 애경케미칼, 비료용 친환경 코팅 수지 국내 최초 개발
- 주정차 단속 알림앱 휘슬, 전남 화순군 서비스 시작으로 호남권 첫 오픈
- 한국가스공사 평택 LNG 생산기지, 세계 최초 LNG선 5000항차 입항 달성
- 아성다이소, 소중한 마음을 전하는 ‘발렌타인데이 기획전’ 진행
- 네스프레소 ‘이스피라치오네 이탈리아나’ 리미티드 에디션 출시
- 포카이츠, 기업이 공급망 데이터의 힘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이터 커넥터 론칭
- KT&G, 미래 비전 선포식 개최
- 현대모비스, 미래 기술 경쟁력 기반 ‘매출 50조’ 첫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