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공대 고승환 교수팀, 문어다리와 관절 구조 사이를 자유롭게 변환하는 기술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이병호)은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팀이 소재 상태를 문어와 같은 부드러운 상태에서 척추동물의 관절과 같은 형태로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생물의 몸은 살고 있는 환경에 최적화된 형태로 진화했는데, 문어와 같은 동물은 좁은 바위틈에서 생존하기 위해 부드러운 몸을 지녔으며, 척추동물은 효율적인 힘 전달을 위해 뼈와 연골로 이뤄진 관절 구조에 기초한 몸을 가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이병호)은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팀이 소재 상태를 문어와 같은 부드러운 상태에서 척추동물의 관절과 같은 형태로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생물의 몸은 살고 있는 환경에 최적화된 형태로 진화했는데, 문어와 같은 동물은 좁은 바위틈에서 생존하기 위해 부드러운 몸을 지녔으며, 척추동물은 효율적인 힘 전달을 위해 뼈와 연골로 이뤄진 관절 구조에 기초한 몸을 가졌다.
이런 생체 조직의 기계적 특성은 포함된 수분량으로 결정되는데, 문어 몸은 전체적으로 많은 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나 척추동물의 관절은 수분이 많은 연골과 거의 없는 뼈의 조합으로 구성됐다.
관절 구조는 상대적으로 기계적 강성이 약한 부분(무릎, 팔꿈치)의 변형만을 허용해 유한한 운동학적 자유도를 가진다. 이런 특성은 좁은 틈에 출입하기에는 부적합하지만 정확한 힘 전달이 가능하며, 문어의 몸과 같이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특징은 관절 구조와 상반되는 특성을 지닌다.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은 과포화 액체 수화염이 결정화될 때 하이드로겔의 수분을 뺏는 현상을 이용해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상태에서 원하는 순간에 국소 수분량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에 하이드로겔 분자와 수화염의 열역학적 상호 작용을 공간적으로 제어해 이러한 변환을 가역적으로 가능하게 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단순히 강성을 변환시키는 기존의 연구를 넘어 원하는 위치에 관절 구조를 필요에 따라 형성 및 제거할 수 있는 기술로 차세대 소프트 로봇 분야에 혁신적인 도약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며,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 ‘Advanced Science’에 8월 27일 자로 발표됐다.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출처: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보도자료 통신사 뉴스와이어(www.newswire.co.kr) 배포
Copyright (c) 코리아뉴스와이어,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 서울시 뷰티 팝업스토어, 2023 서울뷰티위크서 뷰티 산업의 거점으로 성황리 마무리 - 뉴스와이어
- LG생활건강, 색조 화장품 브랜드 ‘힌스’ 보유한 비바웨이브 경영권 인수 - 뉴스와이어
- 그라데이션 ‘2023 마음팔레트 전시’ 10월 3일 개최 - 뉴스와이어
- 라이온코리아 페어아크네 크림, 산리오캐릭터즈 ‘마이멜로디·쿠로미 에디션’ 출시 - 뉴스와
- 엔씨소프트, 퍼즐 신작 ‘퍼즈업 아미토이’ 글로벌 36개 지역 출시 - 뉴스와이어
- 롯데관광개발, 대한항공과 함께 이집트 특별 전세기 여행 상품 출시 - 뉴스와이어
- 화성시 왕배푸른숲도서관, 10월 4~6일 ‘옥상 달빛 극장’ 운영 - 뉴스와이어
- 알파웨이브 IP 그룹, 2023년 6월 30일 마감된 6개월 중간 실적 발표 - 뉴스와이어
-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버르토크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연주, 청각적 ‘불꽃놀이’로
- 오뚜기 ‘꼬리까지 가득 찬 붕어빵’ 2종 출시 - 뉴스와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