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카카오 "골목상권 사업 철수", 이젠 혁신에 집중하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시가총액 55조원의 빅테크·플랫폼 기업인 카카오의 김범수 이사회 의장에 대한 제재 절차에 착수했다.
김 의장은 최근 5년간 공정위에 제출한 지정자료에서 카카오 지주회사 격인 케이큐브홀딩스 관련 내용을 허위로 보고하거나 누락한 혐의를 받고 있다.
공정위는 금융회사인 케이큐브홀딩스가 비금융 계열사인 카카오 지분을 보유하며 금산분리 규정을 위반했을 가능성도 살펴보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산분리 위반·허위 보고 혐의
빅테크기업 '교각살우'는 안 돼
계열사를 158개로 늘릴 만큼 파죽지세로 사업영토를 넓혀온 김 의장과 카카오가 최대 위기를 맞았다. 경제 검찰인 공정위가 칼을 빼들었다는 건 카카오의 지배구조와 영업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고의 자료누락 등 혐의가 확인되면 김 의장에 대한 검찰 고발로 이어질 수 있다. 금산분리 위반으로 결론나면 카카오 지분에 대한 의결권 포기와 지배구조의 변화도 불가피하다. 기업이 독점적 지위를 악용해 공정한 거래를 방해하거나 소비자 이익을 침해하는 건 공정 경제를 무너뜨리는 불법행위다. 소비자·소상공인 보호, 공정한 시장질서 회복을 위해선 플랫폼 기업의 잘못을 바로잡는 규제는 필수다. 공정위가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칼을 칼집에 집어넣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 카카오와 김 의장은 ‘지네발식’ 사업 확장으로 ‘불공정과 탐욕의 상징’이란 오명을 얻은 것을 뼈아프게 자성해야 한다.
카카오는 어제 파트너·이용자와의 상생 방안을 발표했다. 골목상권 논란 사업을 철수하고 파트너 지원 확대 기금 3000억원을 조성하며 케이큐브홀딩스가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로 한 것이 핵심 내용이다. 만시지탄을 금할 수 없지만 상식적이고 당연히 해야 할 일이다. 김 의장은 “지난 10년간 추구해왔던 성장 방식을 과감하게 버리고 기술과 사람이 만드는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카카오와 파트너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모델을 반드시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 말만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 김 의장은 초심으로 돌아가 혁신의 동력을 새롭게 키우는 데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정부도 빅테크 기업의 불법행위는 손보되 혁신의 싹까지 꺾는 ‘교각살우’는 피해야 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부선 “이재명 이해한다, 아내도 있으니…차악으로 선택해달라”
- “이래서 연예인들 자꾸 버릇 없어져”...백지영, 시상식 준비하며 ‘일침’
- 한덕수 탄핵 때 ‘씨익’ 웃은 이재명…“소름 끼쳐, 해명하라” 與 반발
- 한혜진 “제작진 놈들아, 정신 차리게 생겼냐”…前남친 전현무 등장에 분노 폭발
- ‘미스터션샤인’ 배우 이정현, 돌연 기아 생산직 지원…‘평균연봉 1억2천’
- “너희 찢는다”→“민주당에 민주주의 없어”…‘尹지지’ JK김동욱, 연일 과감
- 62억대 사기에 세입자 사망…‘美호화생활’ 부부, 추방 사진 공개
- ‘김딱딱 사건’ 6년만 사과에…서현 “최후 승자는 선한 사람”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