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물가 5.3%↑..예상 밑돌았지만 인플레 압력 여전(상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물가가 고공행진을 벌이고 있다.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시장 예상을 약간 하회했지만, 5%를 넘으면서 여전히 인플레이션 압력이 강하다는 점을 방증했다.
13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8월 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5.3%를 기록했다.
CNBC는 "8월 CPI는 인플레이션이 진정될 수 있다는 신호로 예상보다 덜 올랐다"면서도 "5.3%의 상승률은 1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장 예상치 5.4% 소폭 하회..근원 4.0%↑
"예상 하회했지만, 인플레이션 압력 여전"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미국 물가가 고공행진을 벌이고 있다.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시장 예상을 약간 하회했지만, 5%를 넘으면서 여전히 인플레이션 압력이 강하다는 점을 방증했다.
13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8월 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5.3%를 기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5.4%)를 소폭 밑돌았다. 전월 5.4%까지 치솟으며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7월(5.5%) 이후 13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사실상 그 수준을 유지했다.
가장 높이 뛰어오른 건 에너지 분야다. 특히 휘발유 가격은 1년새 무려 42.7% 치솟았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70달러 안팎으로 오르면서 덩달아 상승했다. 중고차와 트럭 가격은 1년 전과 비교해 31.9% 폭등했다.
전월 대비 CPI 상승률은 0.3%로 나타났다. 월가 전망치(0.4%)에 못 미쳤다. 올해 1월 이후 상승률은 0.3%→0.4%→0.6%→0.8%→0.6%→0.9%→0.5%→0.3%를 보이고 있다. 6월을 기점으로 과열 양상은 약간 꺾이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뛰었다. 전월(4.3%)보다는 소폭 내렸다.
CNBC는 “8월 CPI는 인플레이션이 진정될 수 있다는 신호로 예상보다 덜 올랐다”면서도 “5.3%의 상승률은 1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했다. 절대적인 수치로 보면 역대 손 꼽을 정도로 높다는 뜻이다.
WSJ는 “향후 몇 분기 동안 광범위하고 오래 지속하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나타날 것”이라고 했다. 공급망 혼란으로 기업들이 소비자들에게 가격을 전가하고 있는 만큼 언제든 다시 물가가 더 뛰어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앤드루 슈나이더 BNP파리바 이코노미스트는 “현재 공급망 혼란은 이전에 알던 것보다 훨씬 더 취약하고 회복이 어렵다”고 말했다.
김정남 (jungkim@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단독]"연봉 천만원 인상·자사주 달라"..삼성전자 노조 요구안 '논란'
- 김범수 개인회사 자녀들 퇴사…"인재양성으로 사업목적도 바꿀 것"
- "월 500만원 벌고 집 있는 남자"…39세女 요구에 커플매니저 '분노'
- "안전벨트 안 맸네?"…오픈카 굉음 후 여친 튕겨나갔다
- 개그맨 김종국 子, 사기 혐의 피소…"집 나가 의절한 상태"
- [단독]SK 이어 롯데도 중고차 `노크`…대기업 진출 현실화 임박
- "겸허히 받아들여"…프로포폴 실형 면한 하정우, 향후 행보는 [종합]
- '돈나무 언니' 캐시 우드 “비트코인·테슬라로 막대한 수익 얻을 것"
- '尹 장모 대응문건' 의혹에 추미애 "대검이 장모 변호인 역할 한 셈"
- 文대통령, 퇴임 후 '캐스퍼' 탄다.. ‘광주형 일자리 SUV’ 예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