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건강하게..'코로나 시대'에도 변함없는 소비 트렌드
[경향신문]
‘코로나 시대에는 먹고, 마시는 것도 건강과 편리함이 첫째.’
코로나19 사태로 전체적인 소비가 많이 움츠러들었다고는 하지만 식음료 분야는 상황이 다르다. 코로나19 이후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 변화를 살펴본 각종 조사를 보면 식음료는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식음료 분야의 소비가 늘어난 것의 중심에는 무엇보다 ‘건강’이라는 코드가 자리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한 끼를 먹어도 이 음식이 코로나19 예방이나 극복에 도움이 되는지를 먼저 따져보게 된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이런 추세는 더욱 자연스러워지고 있다. 특히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직장인, 만성 피로로 활력이 필요한 부모세대, 불규칙한 식사로 소화 문제를 겪는 수험생 등 가족 구성원 모두가 제일로 치는 요소가 바로 건강 기능성이다.
특히 추석을 앞두고 감사의 인사를 나누고 싶은 부모·친척·지인들에게 건강 음료 선물을 염두에 두는 소비자도 적지 않다.
추석 같은 명절을 앞두고 한국인들이 즐겨 찾는 인삼 관련 건강 기능성 제품이 크게 판매를 늘리고 있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다음으로는 식재료 구입을 위한 이동을 크게 줄여주면서 집에서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간편식의 인기다. 소비자들은 시간과 노력을 줄여 삶의 질을 업그레이드해주는 편리한 상품 혹은 서비스를 선호하는 추세다. 간편식 매출이 큰 신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도 이런 배경 때문이다.
식음료 분야 전문가들은 간편하고 편리한 제품의 인기가 유통업계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식음료업계에서 갈수록 두드러질 것으로 보고 있다.
최병태 기획위원 cbtae@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 혼자 산다…월셋집에서 배달음식 먹으며
- 홍준표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민주당이 죽 쑤는데도 국민의힘이 밀리고 있어서 유감”
- 블랙핑크 리사, 파리 ‘카바레 쇼’ 상탈 없었다…지수·로제도 응원
- 김기현 “판사는 이재명 대표가 ‘유죄’라고 판결했다”
- 무단 월북 뒤 추방 트래비스 킹 “집으로 돌아가게 돼 행복”
- 장동혁 “‘위증교사 사건’ 없었다면 이재명 대표 대선후보·당 대표 되는 일도 없었을 것”
- [단독]‘김건희 여사 논문’ 질의 피하려?···국민대 이사장, 사비로 미국 출장 43일 연장
- 이준석 “이재명 영장 기각, 민주당이 한동훈 장관 탄핵 들어갈 것”
- [속보] 법원, 박정훈 대령 보직해임 집행정지 신청 기각
- 북한 최선희, 1300만원짜리 구찌백... 현송월은 만원짜리 중국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