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이 곧 삶이고, 삶이 곧 죽음.. '거대담론' 벗어날 수 있기를"

김용출 2021. 9. 14. 20: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광유년' 번역 출간한 中 작가 옌롄커 이메일 인터뷰
매년 노벨문학상 수상 유력 후보 거론
4년 세월 걸쳐 1998년 완성한 대표작
특이한 유전병 앓는 산골 집성촌 배경
병의 기원·예방법 파헤치는 노력 통해
고난의 역사 속 삶과 죽음에 대한 성찰
이야기의 역류·역전서사 방식 풀어내
글쓰기를 위해 모든 걸 바치는 작가로 기억해 주길 희망한다는 옌롄커는 “한국에 가서 친구들과 독자들을 만나고, 술 한잔하고 커피를 마시며 한담을 나누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고 말했다. 자음과모음 제공
1995년 여름, 중국 허난(河南)성 카이펑(開封)에서 뤄양(洛陽)으로 향하던 기차 안에서 낡은 옷을 입은 농민 몇몇이 어느 지방에서 일어난 일에 대해 수군거리며 하는 이야기가 들려왔다.

“많은 사람들이 이상한 병을 얻어서 젊은 나이에 죽어간대.”

바로 그 순간, 서른다섯의 작가 옌롄커(閻連科)는 마음먹었다. 죽음에 저항하는 소설을 써야겠다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이기는 한편 약간의 자신감도 얻고 싶었다. 왜냐하면 그는 오랫동안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느껴온 데다 서른 살부터 시작된 요추 및 경추 질환으로 거의 반신불수처럼 살아왔기 때문이다.

펜을 들어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세심하게 구상할 필요도 없었다. 스토리 전체와 디테일, 인물 등이 알아서 그의 펜 아래로 달려와 그의 지명과 선택, 호명을 기다렸다. 문제는 건강. 점점 심해지는 요추 부상과 경부 질환 때문에, 소설 전반부는 침대에 엎드려서 써야 했고, 후반부는 베이징의 한 공장에 특별히 주문한 글쓰기용 선반에서 써야 했다.

“매일 글쓰기용 선반에 엎드려 글을 쓰다 보면 팔이 거의 제 얼굴과 평행을 이룬 채 안정적으로 글쓰기용 판자와 함께 허공에 걸려 있었습니다.”

4년의 세월이 흐른 1998년, 원문 분량만도 40여 만자에 이르는 장편 ‘일광유년(日光流年)’이 태어났다. 제목의 뜻이 ‘흐르는 세월’쯤 되는, 주인공인 마을 촌장 쓰마란의 죽음에서 시작해 그의 탄생으로 끝맺는.
허난성 서쪽 바러우산맥의 깊은 주름 사이에 자리한 산싱촌(三姓村)은 란씨와 두씨, 쓰마씨의 세 성씨를 가진 주민 200여명이 모여 사는 집성촌이다. 주민들은 마흔을 넘기지 못하고 목구멍이 막혀 죽는 이른바 ‘목구멍병’을 앓아왔다.

주민들은 탕약 처방이나 병원 수술 등 노력을 기울였고, 촌장을 중심으로 사업도 벌이기도 한다. 유채심기 사업을 벌이는 쓰마샤오샤오, 토양을 바꾸려 했던 란바이수이, 병의 원인을 식수로 지목하고 수로 공사를 통해 맑은 물을 마셔 극복하려는 쓰마란.

어렵게 수로 공사를 끝낸 쓰마란은 부인 두주추이가 아닌, 자신이 사랑했던 란쓰스 옆에서 누워 죽는다. 천신만고 끝에 완성된 새 수로를 타고 온 것은 맑은 물이 아니라 쓰레기가 가득한 오염물이었으니.

이야기는 수로공사를 마치고 죽는 쓰마란이 촌장이 되고, 란쓰스를 사랑하다가 두주추이와 결혼하게 되며, 다시 아버지 쓰마샤오샤오가 촌장이 되는 것을 거쳐, 자궁에서 나오려는 순간까지 시간을 거슬러 흐른다.

“쓰마란은 이렇게 미지근한 차 같은 자궁 안에서 은 바늘이 땅에 떨어지는 것처럼 아주 맑고 미세한 웃음을 지으면서 자궁 밖의 세상과 대문을 바라보았다. 그러다가 시험 삼아 머리를 세상으로 내밀어보았다.”(955쪽)

작가 스스로 “평생에 걸친 글쓰기 가운데 가장 큰 전환점이자 가장 기념할 만한 글쓰기 프로젝트”였다고 자평한 ‘일광유년’이 최근 자음과모음에서 번역 출간됐다. 매년 유력한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되는 작가 옌롄커를, 전문번역자 김태성씨의 도움으로 이메일 인터뷰했다.
-산골 마을 산싱촌을 배경으로 사람들이 40세가 되기 전에 희한한 목구멍병으로 죽어간다는 설정이 특이합니다.

“산싱촌은 완전한 상상의 공간인데, 산싱촌이 생겨나게 된 것은 제가 유년시절부터 죽음에 대해 극도의 두려움을 갖고 살아온 사람이기 때문이죠. 저는 항상 인생 허무주의에 빠지곤 했어요. 장기간에 걸친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 서른 살부터 시작된 요추 및 경추 질환이 더해졌고요.”

-목구멍병을 극복하기 위해 촌장들은 유채 심기(쓰마샤오샤오), 토양 바꾸기(란바이수이), 수로공사(쓰마란) 등 다양한 사업을 벌이는데요.

“실제로 소설에 등장하는 몇 세대의 사람들, 몇 명의 촌장들은 죽음에 대항하기 위하여 수로를 닦고 흙을 갈아엎고 유채를 심습니다. 이런 부분들은 특별한 구상 없이 자연스럽게 쓰인 것 같아요. 우리 고향에 길이가 200리가 넘는 수로가 조성돼 있고요. 대량의 인력과 물자를 투입하고 10년이라는 긴 시간을 들여 간신히 고향 근처인 허난성 성도 정저우(鄭州)시 근교 궁이(巩义)시에 건설된 수로이지요. 흙을 갈아엎는 일도 어린 시절부터 잘 알고 있었어요. 당시는 문화대혁명 시기로, 전국적으로 ‘농업학 경쟁’이 이뤄졌지요.”
-목숨까지 잃으며 수로 공사를 끝냈지만, 쓰레기가 가득한 오염물이 밀려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일광유년’을 쓴 기간은 1995년부터 1998년까지인데, 그 기간은 중국의 개혁개방과 경제발전의 열기가 가장 뜨거웠던 시기였어요. 수로공사가 실패하는 것은 사회의 광적인 발전과 미래에 대한 개인적 우려를 어느 정도 반영한다고 할 수 있지요. 예컨대 환경보호 같은 문제에 관해선 제가 뭔가 예견할 수 있는 것이 없을 겁니다. 하지만 그 시대부터 현실에 어떤 불안과 우울이 존재하기 시작했어요.”

-쓰마샤오샤오와 쓰마란, 두옌과 두주추이, 란수이바이와 란쓰스 등 주요 인물들이 생동감 있고 풍성합니다.

“소설 속의 인물들은 전부 상상의 산물입니다. 하지만 모든 인물의 언어와 디테일은 우리 고향의 어느 마을인가에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해요. 모두가 저의 친척이자 이웃인 셈이지요. 글을 쓰는 동안 제가 그들을 찾아가 부르기만 하면 언제든지 함께 밥을 먹고 한담을 나눌 수 있었어요.”
-주인공 쓰마란의 죽음으로 시작해서 그와 동시대 사람들이 태어나는 순간으로 거슬러 진행되는데, 왜 시간을 거스르는 구성을 한 것인지요.

“소설에서 죽음이 곧 삶이고, 삶이 곧 죽음입니다. 시간을 역류시킨 건 ‘삶과 죽음’에 대한 사유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특별한 구조와 서술을 희망했기 때문이지요. 문학과 예술의 창의성을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어요. 제 소설이 새로운 시간관과 서사방식을 갖출 수 있기를 희망했고, 그래서 ‘이야기의 역류’, ‘역전서사’의 방식을 시도한 것이죠.”

-사회적 배경으로 토지개혁, 대약진운동, 문화대혁명, 개혁개방 등이 조금씩 비칩니다.

“소설에서 배경이 존재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죠. 하지만 이야기 전개에서 그다지 중요한 역할을 하진 않아요. 인물들의 시간이 완전히 역류하는데, 40세에서 39세, 38세, 37세를 거쳐 25세, 24세, 23세로 가다가 마지막에는 3세, 2세, 1세, 0으로 귀착되지요. 역사적 사건들의 출현은 단지 시간과 역사가 소설에서 ‘역류하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내기 위한 것일 뿐입니다.”

1958년 허난성의 가난한 농촌에서 태어난 옌롄커는 군대 내 문학창작반에서 활동하던 1979년 잡지 ‘전투보’에 단편 ‘천마 이야기’를 쓰며 데뷔했다. 1978년 인민해방군에 입대해 28년간 직업군인으로 복무했다.
-어떻게 문학의 세계, 작가의 길에 들어선 것인지요.

“제 글쓰기의 발단은 소년 시절 배 불리 먹고, 시골을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이었어요. 글쓰기 때문에 신분상승을 할 수 있었고, 도시로 들어올 수 있었지요. 글쓰기의 처음 목적은 이름을 날리고 일가를 이루는 것이었죠. 그래서 ‘일광유년’이 제 글쓰기의 전환점이라고 말하는 겁니다. 이 소설을 쓸 때를 전후해 제 자신을 해방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죠. 이제는 완전히 제 내면세계에 호응하기 위해 정신과 육체가 함께 동원되는 노동을 진행하고 있지요.”

등단 이후 그는 장편소설 ‘그해 여름의 끝(夏日落)’(1992), ‘일광유년’(1998), ‘레닌의 키스(受活)’(2003),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努力人民服務)’(2005), ‘딩씨 마을의 꿈(丁庄梦)’(2006), ‘풍아송(风雅颂)’(2008), ‘해가 꺼지다(日熄)’(2015), ‘캄캄한 낮, 환한 밤(速求共眠)’(2018) 등 많은 작품을 펴냈다. 제1회, 제2회 루쉰문학상과 제3회 라오서문학상, 2014년 카프카상 등 각종 문학상을 수상했다.

병은 완치되지 않았지만 과거에 비해 많이 좋아졌다는 그는 왕성한 창작의 비결을 묻자 “딱 한 가지 말하고 싶은 게 있다면, 글을 쓰지 않고는 참을 수 없는 그런 마음”이라고 답했다. ‘그 마음’은 매일 이른 아침 노인을 흔들어 깨운 뒤, 청년의 심장으로 문학의 숲으로 끌고 가는데.

샤워와 아침 식사를 한 뒤, 눈에 안약을 한 방울 떨구고, 어깨와 허리에 시원한 파스를 붙인 다음, 허리에 든든한 요대를 하고, 약간 경사지게 나무판을 하나 세워놓은 책상 앞에서, 커피와 차를 쉼 없이 마셔가며, 2만자 정도의 글을 쓰고, 점심 먹고 오후에는 책을 읽거나 사람들을 만나고… 그리하여, 매 순간 그를 숨 쉬게 한다.

김용출 선임기자 kimgija@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