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스트리트] ISDS 소송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타결 후 14년이 지났다.
론스타건은 한미 FTA에 따른 ISDS는 아니다.
한미 FTA 체결 이전에 벨기에, 룩셈부르크 등과 맺은 투자보호협정에 따른 소송이다.
헤지펀드 엘리엇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과 관련해 정부의 결정을 문제삼은 소송이 한미 FTA에 따른 첫 ISDS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송사 좋아하는 집치고 잘되는 집안 없다는 옛말이 있다. 현대에도 통용된다. 변호사 비용에다 정신적 피해까지 감안하면 재판은 피해야 할 일이다. ISDS는 송사다. 한국에 투자한 외국기업이 부당하게 권한을 침해당했을 때 국제기구 중재로 분쟁을 해결하는 제도다. 개방경제체제인 한국엔 글로벌 자본이 공기업 등에도 들어와 있다. ISDS 조항에 반대하던 시민단체들은 정부가 배상금 물어주다 거덜난다고 했다.
ISDS가 다시 핫이슈로 부상할 조짐이다. 미국계 사모펀드 론스타가 외환은행 매각과 관련해 제기한 46억8000만달러(5조1480억원) 규모의 국제소송 판정 선고가 임박했다. 정부를 상대로 제기된 9건의 ISDS 소송 중 청구액이 가장 크다. 14일 정부는 "판정 선고 후 대응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했다. 정부가 이기면 한 푼도 안 줘도 된다. 론스타가 승소하면 천문학적 청구액을 물어줘야 한다.
론스타건은 한미 FTA에 따른 ISDS는 아니다. 한미 FTA 체결 이전에 벨기에, 룩셈부르크 등과 맺은 투자보호협정에 따른 소송이다. 헤지펀드 엘리엇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과 관련해 정부의 결정을 문제삼은 소송이 한미 FTA에 따른 첫 ISDS다. 현재 소송이 진행 중이다.
정부 입장에선 ISDS가 큰 부담이다. 예를 들어 정부가 한국전력의 전기료를 규제하면 자칫 소송을 당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공공정책이 타격을 받는다. 국내기업을 보호하는 측면도 있다. 한국 투자자가 외국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ISDS도 8건이다. 다만 초국적자본의 소송 남발이 걱정이다. 송사는 결국 돈싸움 아니겠는가.
mirror@fnnews.com 김규성 논설위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강주은 "남편 최민수♥와 관계 가졌던 여자들과 친해"
- 알몸 차림으로 '시간당 8만원' 버는 美청소부..."이게 신종 직업이라고요?"
- 이미주 "김종민 나 좋아해…내 사진 확대해서 봐"
- 전처, 남친 생기자 "죽겠다" 협박…서장훈 "너 뭐하는 놈이야?" 격분
- 신동엽 "병원서 소변통으로 '19금 드립'…간호사에 미친X 소리 들었다"
- 엄정화, 파격 시스루 드레스 자태…"뒤가 장난 아냐"
- "안성현이 3억 가로챘다"..고소당한 성유리 남편, 무슨 일?
- 日 86세 할머니, 공원 벤치서 숨진 채 발견…50대 아들이 범인
- "아이 더 키우고 싶어" 대리모 3명에 자녀 낳아 호적 올린 60대男
- '뒷자리 999999' 中휴대폰번호 47억에 팔릴 뻔한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