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서 집콕 우울해요' 여가부, 1인 가구 맞춤형 프로그램 신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성가족부가 1인 가구, 청소년 부모, 한부모·다문화 가족 등 그간 정부 지원에서 소외됐던 다양한 형태의 가족들을 위한 각종 지원에 나선다.
예산 증액분의 상당 부분은 1인 가구, 저소득 한부모 가족 등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지원하는 신규 사업과 정부 운영 프로그램에 투입될 예정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성가족부가 1인 가구, 청소년 부모, 한부모·다문화 가족 등 그간 정부 지원에서 소외됐던 다양한 형태의 가족들을 위한 각종 지원에 나선다. 특히 최근 급증한 1인 가구의 심리적 고립을 막기 위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상담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14일 여가부는 2022년 가족정책 분야 정부예산으로 2021년보다 19.8%(1466억원) 증가한 8859억원이 편성됐다고 밝혔다. 예산 증액분의 상당 부분은 1인 가구, 저소득 한부모 가족 등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지원하는 신규 사업과 정부 운영 프로그램에 투입될 예정이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31.7%(통계청, 2020년 기준)에 이르는 등 최근 급증하고 있는 1인 가구를 위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프로그램’이 신설된다.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사회적 고립감과 외로움을 호소하는 1인 가구가 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여가부는 1인 가구의 사회관계망 형성을 돕기 위해 청년(자기 돌봄 및 소통 모임), 중장년(서로 돌봄 생활 나눔 교육), 노년(심리상담 및 건강한 노년 준비 교육) 등 생애주기 별로 맞춤형 프로그램을 새로 만든다. 이러한 교육들은 전국 각지의 12개 가족센터에서 이뤄질 계획이다.
청소년 부모에 대한 지원도 강화된다. 청소년 부모에게 자녀 양육방식 교육 서비스, 심리상담 및 법률상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9억5000만원의 예산이 새로 편성됐다. 또 저소득 청소년 부모를 위한 아이돌봄서비스의 정부지원율을 85%에서 90%로 높였다.
청소년 한부모와 달리 근로·사업소득 공제를 받지 못했던 25살 이상 저소득 한부모 가족도 내년부터는 30%의 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월 242만원의 근로소득이 있는 2인 가구는 아동양육비 지원 기준인 중위소득 52%(22년 2인가구 기준 169만원)을 넘어 올해까지는 지원 대상에서 빠졌지만, 내년부터는 근로·사업소득 30%의 공제 적용으로 소득이 169만원으로 환산돼 아동양육비의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다문화가족 학령기 자녀의 교육 격차 문제 해소를 위해서는 예산 37억원(다문화가족 자녀 사회포용 안전망 구축)이 신규로 편성됐다. 여가부는 이 예산으로 전국 140여개 지역센터에서 청소년 전문 상담가를 채용해 이들 학령기 자녀들에게 가정 내 갈등, 학업 고민 등에 대한 상담과 진로·취업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다.
임재우 기자 abbado@hani.co.kr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변호사조차 생소한 죄목…“최소 10년 이상 법조인이 만진 고발장”
- [편집국에서] 백지고발장은 부도나지 않았다 / 김남일
- [속보] 여의도순복음교회 설립 조용기 목사 별세…향년 86
- 더 자주, 더 넓게, 그리고 더 세게 온다 ‘가을 태풍’
- ‘당 직인’ 찍힌 고발장에 침묵…국민의힘, 윤석열과 ‘선긋기’ 통할까
- [단독] 카카오가 93개사 삼킬 때, 정부 제재 한번도 없었다
- 오세훈, ‘주인 없는 곳간’ 프레임 앞세워 보수층 결집 노리나
- [단독] 네이버 해피빈 ‘직장갑질’ 폭로 뒤 “가해자 구명 탄원서 써달라” 요구
- WHO 과학자들 “일반인, 백신 부스터샷 필요 없다”
- 소문이 현실로…BTS·콜드플레이 협업곡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