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멕시코만 생산설비 중단 지속에 상승세.. WTI, 1%↑

안서진 기자 2021. 9. 14. 07: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제유가가 멕시코만 지역의 원유 가동이 아직 완전히 재개되지 않은 가운데 1%대 상승 마감했다.

13일(현지시각)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10월 인도분 선물은 전장 대비 73센트(1.05%) 오른 배럴당 70.45달러를 기록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아이다가 지나간 멕시코만에서 지난달 말 이후 원유 생산시설은 4분의 3이 여전히 폐쇄돼 일평균 140만배럴 생산이 중단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유가가 멕시코만 지역의 원유 가동이 아직 완전히 재개되지 않은 가운데 1%대 상승마감했다./사진=이미지투데이
국제유가가 멕시코만 지역의 원유 가동이 아직 완전히 재개되지 않은 가운데 1%대 상승 마감했다.

13일(현지시각)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10월 인도분 선물은 전장 대비 73센트(1.05%) 오른 배럴당 70.45달러를 기록했다. 영국 북해 브렌트유 11월물은 59센트(0.81%) 올라 배럴당 73.51달러로 체결됐다.

이날 유가는 허리케인 아이다로 인한 멕시코만 생산 중단이 이어지면서 공급차질 우려로 상승 압박을 받았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아이다가 지나간 멕시코만에서 지난달 말 이후 원유 생산시설은 4분의 3이 여전히 폐쇄돼 일평균 140만배럴 생산이 중단됐다.

여기에 열대성 폭풍 니콜라스가 멕시코만을 접근하며 며칠 안에 허리케인급으로 위력을 키울 전망이라는 점도 유가를 끌어올렸다.

하지만 상승폭은 다소 제한적이었다. 브렌트유는 지난 3주 동안 배럴당 70~74달러선에서 오르 내렸다. 미 에너지정보청은 국제유가 벤치마크인 브렌트유가 연말까지 현 수준을 유지해 4분기 배럴당 평균 71달러선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OCBC뱅크의 호위 리 이코모노시트는 "초단기를 넘어 시장은 바이러스 영향력에 대한 명확성을 원한다"며 "이전까지 원유를 포함한 대부분 자산은 횡보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국제 금값은 상승했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은 온스당 2.95달러(0.16%) 오른 1795.05달러에 마감했다.

[머니S 주요뉴스]
"헉! 누드 아니었어?"… 제시. 넘사벽 볼륨감 '아찔'
140억 저택 선물받은 박주미, 20년째 시댁살이?
"누구 몸매가 예쁨?"… SSG 치어리더들 수영복 대결
'男배우 성관계 요구 폭로' 허이재, 칭찬한 여배우?
"처 자리에 엄마가"… 미나♥류필립 사주 '충격'
추성연, 이아영과 커플 성사되지 못한 이유
'조성윤♥' 윤소이 임신, 결혼 4년만에 엄마된다
삭제하면 끝?… 노엘, 논란 일자 SNS 게시글 빛삭
TV조선 계약만료, 임영웅 심경 "행복했습니다"
혜리, 모던+러블리 가을 오피스룩

안서진 기자 seojin0721@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