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무주택자의 허탈감.. 3년 전 이 전셋값이면 집 샀다

노유선 기자 2021. 9. 14. 06: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아파트값이 급등하며 현재 전셋값으로 3년 반 전 매매가 가능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가격 동향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4억4156만원으로 집계됐다.

박원갑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임대차 3법 시행 이후 전세 유통 매물이 감소한 데다 입주물량이 줄어들어 전셋값이 급등했다"며 "당분간 전세시장 불안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아파트 전셋값으로 3년 반 전에는 매매가 가능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지난 8월 서울 아파트·주택단지 전경. /사진=뉴스1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아파트값이 급등하며 현재 전셋값으로 3년 반 전 매매가 가능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가격 동향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4억4156만원으로 집계됐다. 2018년 1월 당시 수도권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인 4억4067만원과 비슷한 수치다.

수도권 전세시장은 2018년과 2019년 전셋값 상승률이 각각 -0.03%, -0.53%로 하향세였지만 지난해 10.23% 올랐다.

올 들어 상승폭은 더욱 확대됐다. 1월부터 8월까지 누적 전셋값 상승률은 10.26%로 지난해 상승률(10.23%)을 이미 넘어선 상태다. 서울은 8.70%, 경기 10.67%, 인천 12.76%가 올랐다. 경기는 지난해 상승률(9.95%)을 넘어섰고 인천은 지난해 상승률(6.18%)보다 두 배나 뛰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임대차 3법 시행 이후 전세 유통 매물이 감소한 데다 입주물량이 줄어들어 전셋값이 급등했다”며 “당분간 전세시장 불안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머니S 주요뉴스]
"헉! 누드 아니었어?"… 제시. 넘사벽 볼륨감 '아찔'
140억 저택 선물받은 박주미, 20년째 시댁살이?
"누구 몸매가 예쁨?"… SSG 치어리더들 수영복 대결
'男배우 성관계 요구 폭로' 허이재, 칭찬한 여배우?
"처 자리에 엄마가"… 미나♥류필립 사주 '충격'
추성연, 이아영과 커플 성사되지 못한 이유
'조성윤♥' 윤소이 임신, 결혼 4년만에 엄마된다
삭제하면 끝?… 노엘, 논란 일자 SNS 게시글 빛삭
TV조선 계약만료, 임영웅 심경 "행복했습니다"
혜리, 모던+러블리 가을 오피스룩

노유선 기자 yoursun@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