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앞두고 혼조세로 마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뉴욕증시는 다음날 나오는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혼조세로 마감했다.
13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61.91포인트(0.76%) 오른 3만4869.63으로 거래를 마쳤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6거래일 만에 반등했고, 나스닥지수는 나흘 연속 하락했다.
이날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없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다음날 발표가 예정된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주목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욕증시는 다음날 나오는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혼조세로 마감했다.
13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61.91포인트(0.76%) 오른 3만4869.63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0.15포인트(0.23%) 상승한 4468.73,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9.91포인트(0.07%) 밀린 1만5105.58로 마감했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6거래일 만에 반등했고, 나스닥지수는 나흘 연속 하락했다.
이날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없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다음날 발표가 예정된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주목하고 있다.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질 경우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테이퍼링 시기가 빨라질 가능성이 있어서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이 집계한 8월 소비자 기대 설문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들의 1년 후 인플레이션 전망치 중간값은 5.2%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7월 기록한 4.9%에서 또다시 오른 것으로 자료 집계를 시작한 2013년 이후 최고치다. 3년 후 인플레이션 전망치도 4.0%로 자료 집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지방소멸 막으려면]④사과약과 맛보러 100명 줄섰다…백종원의 예산시장 “경제 살렸쥬?”
- “한정판 떴다”… 수입차 영업사원이 PC방으로 가는 이유는
- SK온 “中 옌청 신공장, 내년 3월 양산 본격화… 첫 해 흑자 기대”
- [수출 유망주, 스마트팜]② ‘월급쟁이 농부’ 시스템 구축한 드림팜… 수출에도 ‘날개’
- [지방소멸 막으려면]③숨막히는 회색 도시 벗어나, 부산 바다 보며 누워서 일한다
- 전과자 황영웅의 초고속 컴백.."여전히 뻔뻔해" vs "신곡 기대돼" [Oh!쎈 초점]
- [2023 노벨상] 노벨상 받으려면 연구비 몰아주기보다 다수에게 나눠라
- 日에 패하자 심판 밀치고 스태프에 주먹질…北 축구 추태 ‘눈살’
- [미래 지킬 K무기] 시속 2200㎞·무기 7.7t 탑재… ‘한국형 전투기’ KF-21
- [미래 지킬 K무기] 특공대 기관단총 40년 만에 교체… 레고처럼 조립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