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욕' 낙인에 고민빠진 카카오, 김범수 행보에 쏠린 눈

윤지혜 기자 2021. 9. 14. 05:3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범수 카카오 의장/사진=뉴스1

정치권과 여론의 십자포화를 맞고 있는 카카오가 상생안을 마련키로 하면서 김범수식 해법에 관심이 쏠린다. 계열사별 '각자도생'으로 사업을 무분별하게 확장했다는 비판을 받은 만큼, 수수료인하·사업철수 등 단편적인 해결방안을 넘어 공동체 내 컨트롤타워를 통한 사업재편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골목상권 침해 논란을 빚은 사업의 상생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카카오를 향한 규제 칼끝이 점점 더 날카로워지고 있어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카카오가 지난 5년간 제출한 지정자료에 김범수 의장의 개인회사인 케이큐브홀딩스 관련 자료를 누락되거나 허위보고됐다고 보고 최근 카카오 본사와 케이큐브홀딩스를 현장 조사했다.

업계에선 김 의장이 상생안을 직접 챙길 것으로 본다. 김 의장의 '100인의 CEO' 경영철학이 오늘날 각개전투식 독립경영체계를 만든 만큼 그가 주도적으로 교통정리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다. 유명무실한 공동체성장센터를 내실화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카카오는 2017년 본사와 계열사 간 시너지를 위해 센터를 설립했으나 이사회 사무처 수준에 그친다는 비판이 많았다.

계열사 대표로 구성된 협의체 출범 방안도 점쳐진다. 카카오가 2015년 다음과의 합병을 앞두고 선보인 최고경영진협의체(CXO)가 부활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당시 CXO엔 임지훈 카카오 대표와 홍은택 최고운영책임자(現카카오커머스 대표), 최세훈 최고재무책임자(現카카오페이 보험사업추진태스크포스장), 정주환 최고비즈니스책임자(現카카오 부사장) 등이 참여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이와관련 "현재 다양한 상생방안을 검토중인데 아직 결정된 것은 없으며 자칫 협력사나 참여 소상공인들에게 피해를 줄수도 있는 만큼 신중하게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 117개 사업한다?…36개 계열사→카카오엔터, 돈 버는 곳도 없다
일각에선 정부·국회의 '카카오 때리기'가 과도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카카오모빌리티 등 일부기업의 수수료 인상이 비판받아 마땅하지만 올해 국정감사와 내년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플랫폼산업에 대한 이해 없이 포퓰리즘식 규제를 남발된다는 지적이다. 특히 정치권은 카카오의 국내 계열사가 117개에 달한다며 '카카오 공화국'이라 비판하는데, 뜯어보면 대부분이 소규모 스타트업이나 콘텐츠제작사 등이다. 실질적인 카카오 주력사는 10여곳 정도인데 M&A를 통해 늘어난 스타트업과 레이블 등이 '착시효과'를 일으키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연예기획사·영화제작사·음악레이블·웹툰/웹소설스튜디오 등 36개 계열사는 사실상 카카오엔터테인먼트 1개 기업이다. 카카오벤처스·인베스트먼트 등이 투자한 기업 중 지분이 일정 수준 이상이어도 공시 대상인 데다, 카카오 사업과 무관하거나 소멸예정법인도 20%(23개)나 된다. 일부 매각을 추진중인 택시회사도 10여개에 달한다.

일각에서 재벌기업 규제를 위해 도입된 대기업집단 지정제도를 플랫폼 기업에 적용하기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현행 제도는 사업적 관계가 없어도 총수의 먼 친척이 투자한 회사라면 공시 대상"이라며 "재벌기업은 '계열사 수=사업 분야' 공식이 통했지만, 다수의 M&A(인수·합병)로 성장하는 플랫폼산업엔 안 맞는 낡은 규제"라고 꼬집었다.

카카오를 '탐욕의 상징'이라 치부하기엔 돈을 버는 계열사도 많지 않다. 유료화 홍역을 치른 카카오모빌리티는 2017년 카카오에서 독립한 후 4년간 단 한 번도 수익을 내지 못했다. 지난해 영업손실만 141억원 규모다. 스크린골프 골목상권을 침범했다는 비판을 받는 카카오VX는 지난해 겨우 흑자전환해 2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카카오페이도 지난해까지 적자행진을 이어가다 올 상반기 영업이익이 26억원에 그쳤다.

카카오가 국내 시장에만 골몰하는 것도 아니다. 2011년 일본에 카카오톡을 선보이고 2015년엔 미국 SNS(사회관계망서비스) '패스모바일'을 인수하며 동남아 진출을 타진했지만 트위터·페이스북·인스타그램 등 글로벌 빅테크와의 경쟁에서 밀렸다. 현재는 웹툰·웹소설로 해외 영토를 확장 중이다. 카카오엔터 미디어부문은 최근 태국에 아시아사업을 총괄하는 법인도 설립해 글로벌 콘텐츠 사업 준비에 돌입했다.
카카오, 스타트업 키다리 아저씨인데…"M&A 나쁘게 봐선 안돼"
/사진='스타트업 트렌드 리포트 2020'
스타트업 업계에선 M&A를 활용한 카카오식 성장방식이 문어발식 사업확장으로 간주되면서 엑시트(투자금회수) 기회가 줄까 우려한다.

지난해 스타트업얼라이언스가 조사한 '스타트업 트렌드 리포트2020'에 따르면 스타트업 창업자들은 스타트업 지원에 가장 적극적인 기업 1, 2위로 네이버(28.9%)와 카카오(21.1%)를 꼽았다. 선호하는 투자기관 2위엔 카카오벤처스(15.1%)가 올랐다. 최근 5년간 국내 매출 500대 기업 중 카카오(47개)·네이버(30개)가 가장 많은 스타트업을 인수했다는 분석도 있다.

네이버·카카오가 국내 스타트업의 키다리 아저씨 역할을 해주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스타트업 M&A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쌓이면 네이버·카카오도 투자에 신중해질 수밖에 없다. 한 스타트업 관계자는 "미국·중국과 달리 한국은 스타트업 M&A 자체가 비활성화돼 카카오에 대한 규제는 업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카카오헤어샵에 대해 미용협회가 반대하고 나선 것도 아닌데, 당사자의 목소리도 없이 정치권에서 일방적으로 표적 규제하는 것은 문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O2O 시장에서 네이버의 점유율이 더 큰데, 카카오만 규제하면 다양성이 사라져 소비자-공급자-스타트업 모두 보호하지 못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미달이' 김성은 "10살에 집 사고 유학비 벌었다"박주미, 140억 저택 선물한 시부모 언급…"20년째 함께 사는 중""박지윤 가족은 꾸미고 와서"…노키즈존 식당 해명에 논란 가중'사랑과 전쟁' 민지영, 갑상선암 진단 고백윤석열 "늦장가? 대부분 차여서"…홍준표 "개그맨 시험 볼 뻔"
윤지혜 기자 yoonjie@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