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조 시민단체 현금지급기' 된 서울시, 무섭게 커진 운동권 생태계
오세훈 서울시장이 기자회견을 갖고 “시민의 세금으로 어렵게 유지되는 서울시의 곳간이 시민단체 전용 ATM(현금지급기)으로 전락했다”고 말했다. 과한 비유가 아니다. 지난 10년 동안 서울시가 시민단체에 세금을 줘 벌인 사업이 운동권 이권 생태계만 키운 비정상 사업이라는 지적이 계속 있었다. 하지만 박원순 시장의 장기 재직과 문재인 정권까지 겹치며 ‘세금 따먹기’ 피라미드가 구축됐다.
민간 위탁은 민간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활용하는 것이 시민에게 더 이익일 경우에 하는 것이다. 그동안 서울시의 민간 위탁은 상당 부분 이 원칙과 거꾸로 갔다. 마을, 도시재생, 사회적 경제, 주민자치는 물론 주거, 청년, 노동, 도시농업, 환경, 에너지, 남북 교류까지 시민단체가 개입하지 않은 사업이 없다. 오 시장은 “지난 10년 동안 민간 보조금 또는 민간 위탁금으로 이 시민단체들에 지원된 총 금액이 1조원 가까이 된다”고 했다. 최근 서울시가 점검해 보니 마을공동체 사업의 경우 지원금의 절반이 인건비로 나갔다고 한다. 세금을 그냥 나눠 먹은 것이다.
시민단체에 민간 위탁 사업을 주면서 위탁 업체 선정은 임기제 공무원으로 들어온 시민단체 출신들이 했다. 각 자치구에 중간 지원 조직을 따로 만들어 이 역시 시민단체에 위탁했고, 이 조직을 통해 자신이 몸담았던 시민단체에 돈을 지원했다고 한다. 이 시민단체가 다시 자금 창구가 되어 또 다른 시민단체에 용역을 발주하는 경우도 있었다. 세금 따먹기 먹이사슬이 만들어진 것이다. 오 시장은 “시민단체의 피라미드” “시민단체형 다단계”라고 했다.
서울시 공무원이 “시민단체 출신 간부들의 압력에 못 이겨 부적절한 예산을 편성하고 집행하면서 자괴감을 느꼈다”고 토로했다고 한다. 서울은 작은 국가 규모를 넘는 세계적 거대도시다. 이런 도시에서 운동권 시민단체들이 시 권력을 장악하고 이를 이용해 시민 세금을 제 돈처럼 나눠 먹었다.
시민단체 생태계는 커질 대로 커졌다. 작년 서울시가 공모사업으로 지원한 시민단체만 3339곳에 이른다고 한다. 여기서 직간접적으로 혜택을 받는 사람은 엄청난 숫자일 것이다. 정상화 과정에서 상당한 저항이 있겠지만 피할 수 없고 피해서도 안 된다.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최유식의 온차이나] 중국 경제에 쏟아지는 ‘섬뜩한 경고’
- “경찰 심문받는 중” 문자가 끝…韓유학 온 위구르족 대학원생 홍콩서 실종
- 출범 후 2년간 단 3건 기소했는데...野 “공수처 정원 늘리자”
- 英 사립 초·중·고에 홍콩 출신 학생 2년새 5배, 이유는?
- “사회의 높은 기대치에 스스로 고립”…BBC가 본 한국 ‘은둔 청년’
- 탁구 女복식 신유빈·전지희 은메달에, 현정화 “후배들이 잘해줘 기쁘다”
- 우크라軍 수뇌 “대반격 오랫동안 준비, 며칠내 시작될 것”
- 기시다 日총리 “김정은과 정상회담 위한 고위급 협의 추진”
- 항공기 테러, 창과 방패의 숨바꼭질[만물상]
- 시흥동 연인 살해범, 구속영장 발부...“도주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