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에 '폐유리 자원화시설' 들어선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주지역에서 발생하는 폐유리를 새로운 제품으로 생산하는 시설이 들어선다.
제주시는 ㈜깨끗환경이 제주시 도평동 7200m² 용지에 폐유리 자원화시설을 설치하기 위해 관련 절차를 이행 중이라고 13일 밝혔다.
폐유리를 자원화하는 시설은 제주지역에서 처음이다.
지금까지 제주지역에서는 제주시 오라2동에 있는 한 업체에서 빈병과 폐유리를 노상에서 파쇄하는 등 관련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아 환경문제를 야기해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평동에서 내년 상반기 가동 예정
제주지역에서 발생하는 폐유리를 새로운 제품으로 생산하는 시설이 들어선다. 제주시는 ㈜깨끗환경이 제주시 도평동 7200m² 용지에 폐유리 자원화시설을 설치하기 위해 관련 절차를 이행 중이라고 13일 밝혔다.
폐유리를 자원화하는 시설은 제주지역에서 처음이다. 국토교통부 산하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가 폐유리를 자원화하기 위해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일본 기업과 협의를 마쳤으나 지난해 중단한 적이 있다. 이번 사업은 민간기업에서 추진하는 것으로 연간 최대 1만 t의 폐유리를 재생하거나 건축자재로 재활용하는 자동화 처리시설 및 장비를 갖추고 내년 상반기 가동할 예정이다.
이 자원화시설에선 소주병과 맥주병을 세척, 소독한 후 생산 회사에 보내고, 그 외에 잡병과 깨진 유리를 색깔별로 분류, 파쇄한 후 유리 제조회사에 보낸다. 재활용하지 못하는 폐유리에 대해서는 공정을 거쳐 골재나 마감재 등의 건축자재 제품으로 만든다. 유리조각을 그대로 매립했던 종전 상황을 개선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제주지역에서는 제주시 오라2동에 있는 한 업체에서 빈병과 폐유리를 노상에서 파쇄하는 등 관련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아 환경문제를 야기해왔다. 앞으로 환경정책 강화에 따라 빈병과 폐유리를 해외는 물론이고 국내 반출·반입을 금지하면 제주에서 발생하는 빈병, 폐유리에 대한 처리난이 발생할 수 있는 실정이다.
깨끗환경 관계자는 “공장 가동으로 발생하는 먼지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데, 대부분 여과장치를 통해 걸러낼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양은 경유차 1대 운행에 따른 발생량에 불과하다”며 “조만간 주민설명회를 개최해 불필요한 오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임재영 기자 jy788@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野 “조성은, 박지원에 고발장 캡처 사진 미리 보내”…朴 “특수관계? 내가 바보냐”
- 尹측 “고발 사주 아니라 제보 사주”…與 “엉터리 삼류소설”
- 공수처, 김웅 의원실 다시 압수수색…160분후 빈손 철수
- 北미사일 2시간 동안 1500km 날아갔는데…軍은 몰랐다
- 정세균 사퇴로 與 경선판 출렁…‘호남 대전’ 누구에게 유리?
- 윤희숙 사직안 국회 통과…이낙연 사퇴서 처리는 미룬 與
- 국민의힘 주자들 ‘TK 결투’ …尹 안동, 洪-劉 대구행
- 김종인 “尹, 파리떼에 5개월 헤매…조기입당 후회할 것”
- 서울 지하철 파업 철회…노사협상 한밤 극적 타결
- [단독]김부겸, 내일 이재용 만난다…삼성 SW아카데미 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