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능이 권력인 사회 [2030세상/박찬용]
박찬용 칼럼니스트 입력 2021. 9. 14. 03:02 수정 2021. 9. 14. 05: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요즘은 경제도 예능이야." 오랜만에 만난 애널리스트 친구가 말했다.
사람들도 예능사회의 문법을 받아들인 것 같다.
기기가 저렴해지고 채널이 많아져도 사람이 나오지 않으면 예능 프로그램이 만들어질 수 없다.
남의 말을 끊고 놀리는 말, 사람을 캐릭터로 평가하는 농담, '아재 개그'라고 부르는 한국어 말장난, 모두 한국 예능이 낳은 농담 습관이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경제도 예능이야.” 오랜만에 만난 애널리스트 친구가 말했다. 몇 달 전부터 유명 경제 유튜브 채널에 나가기 시작하자 자기 말을 들어주는 사람이 너무 많아졌다는 것이었다. 애널리스트 보고서를 몇 년씩 써온 게 유튜브 하나 나가는 것보다 못하더라고 했다. 그 유튜브 채널이 구독자 150만 명을 넘었고 상장을 준비 중이라는데 그럴 만했다.
경제를 넘어 일상 안팎의 거의 모든 게 예능 프로그램 소재가 됐다. 요리가 예능이 된 지 오래다. 전에는 방송인 결혼 관련 예능을 하더니 이제는 보통 사람의 연애가 예능이 됐다. 강형욱 씨는 애견을, 백종원 씨는 요식업 창업을, 오은영 씨는 육아를, 홍진경 씨는 입시 공부를 예능화했다. 한국의 서바이벌 예능 중 가장 오래된 건 힙합을 예능화한 ‘쇼미더머니’다. 예능사회, 예능 시대라 해도 큰 무리가 없다.
예능사회를 낳은 기술적 기반이 있다. 영상 제작이 엄청나게 쉬워졌다. 카메라가 작아지고 싸지고 성능이 좋아지며 소스가 엄청나게 많아졌고, 재미있는 영상 결과물을 만들 확률도 높아졌다. 예능이 등장인물의 예술에서 편집의 예술로 넘어간 것이다. 무엇보다 다채널 시대를 지나 유튜브라는 무한채널 시대가 왔다. 누구나 예능 프로그램을 만들고 올릴 수 있는 세상이 열렸다. 유튜버가 시대의 인기인이 된 데에는 이런 배경이 있다.
사람들도 예능사회의 문법을 받아들인 것 같다. 기기가 저렴해지고 채널이 많아져도 사람이 나오지 않으면 예능 프로그램이 만들어질 수 없다. 오늘날의 한국 젊은이들은 예능 시청뿐 아니라 출연에도 익숙해졌다. 유재석이 진행하는 ‘유 퀴즈 온 더 블럭’에는 매주 보통 사람이 나온다. 젊은이들 사이에서 압도적 인기인 ‘환승연애’의 출연진 역시 모두 보통 사람이다. 연예인과 제작자가 보통 사람의 언행을 예능 프로그램으로 만들고, 모니터 밖 보통 사람들이 예능이 된 보통 사람들의 모습을 즐긴다.
한국의 모든 것이 예능인가 싶다. 예능 프로그램 유행어를 모르면 대화를 이해하기 힘들고, 특정 계층의 인기 예능을 보지 않으면 대화에 끼기도 힘들다. 세상의 다양한 농담 중 예능 프로그램에서 유행하는 농담이 유독 유행한다. 남의 말을 끊고 놀리는 말, 사람을 캐릭터로 평가하는 농담, ‘아재 개그’라고 부르는 한국어 말장난, 모두 한국 예능이 낳은 농담 습관이다. 다양한 예능이 예능이라는 코드로 사람들을 획일화시키는 걸까. 만사가 예능화하니 예능 문법이 권력이 된다.
나는 잡지 원고를 작성할 때 사실과 의견과 농담의 비율을 고민하곤 했다. 사실을 위주로 약간 의견을 넣고 독자의 재미를 위해 농담을 한 숟가락만 더하려 했다. 콘텐츠를 단위 시간 안의 정보라 친다면 예능은 그 안에서 농담 비율이 높은 콘텐츠다. 모두 진지한 이야기를 할 필요는 없지만 만사가 예능화한 2020년대 한국의 풍조가 무엇으로 귀결될지 종종 궁금하다. 예능풍의 가벼운 농담 유행이 언제까지 갈지, 이 유행이 끝나면 무엇이 남을지.
예능사회를 낳은 기술적 기반이 있다. 영상 제작이 엄청나게 쉬워졌다. 카메라가 작아지고 싸지고 성능이 좋아지며 소스가 엄청나게 많아졌고, 재미있는 영상 결과물을 만들 확률도 높아졌다. 예능이 등장인물의 예술에서 편집의 예술로 넘어간 것이다. 무엇보다 다채널 시대를 지나 유튜브라는 무한채널 시대가 왔다. 누구나 예능 프로그램을 만들고 올릴 수 있는 세상이 열렸다. 유튜버가 시대의 인기인이 된 데에는 이런 배경이 있다.
사람들도 예능사회의 문법을 받아들인 것 같다. 기기가 저렴해지고 채널이 많아져도 사람이 나오지 않으면 예능 프로그램이 만들어질 수 없다. 오늘날의 한국 젊은이들은 예능 시청뿐 아니라 출연에도 익숙해졌다. 유재석이 진행하는 ‘유 퀴즈 온 더 블럭’에는 매주 보통 사람이 나온다. 젊은이들 사이에서 압도적 인기인 ‘환승연애’의 출연진 역시 모두 보통 사람이다. 연예인과 제작자가 보통 사람의 언행을 예능 프로그램으로 만들고, 모니터 밖 보통 사람들이 예능이 된 보통 사람들의 모습을 즐긴다.
한국의 모든 것이 예능인가 싶다. 예능 프로그램 유행어를 모르면 대화를 이해하기 힘들고, 특정 계층의 인기 예능을 보지 않으면 대화에 끼기도 힘들다. 세상의 다양한 농담 중 예능 프로그램에서 유행하는 농담이 유독 유행한다. 남의 말을 끊고 놀리는 말, 사람을 캐릭터로 평가하는 농담, ‘아재 개그’라고 부르는 한국어 말장난, 모두 한국 예능이 낳은 농담 습관이다. 다양한 예능이 예능이라는 코드로 사람들을 획일화시키는 걸까. 만사가 예능화하니 예능 문법이 권력이 된다.
나는 잡지 원고를 작성할 때 사실과 의견과 농담의 비율을 고민하곤 했다. 사실을 위주로 약간 의견을 넣고 독자의 재미를 위해 농담을 한 숟가락만 더하려 했다. 콘텐츠를 단위 시간 안의 정보라 친다면 예능은 그 안에서 농담 비율이 높은 콘텐츠다. 모두 진지한 이야기를 할 필요는 없지만 만사가 예능화한 2020년대 한국의 풍조가 무엇으로 귀결될지 종종 궁금하다. 예능풍의 가벼운 농담 유행이 언제까지 갈지, 이 유행이 끝나면 무엇이 남을지.
박찬용 칼럼니스트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공수처 “‘손준성 보냄’ 발신번호, 孫검사 번호와 일치”
- 공수처, 김웅 의원실 3일만에 다시 압수수색… 160분 뒤진후 압수물 한건도 없이 ‘빈손’ 철수
- 대검 “윤석열에 혐의 적용 쉽지않다” 잠정 결론
- 檢, 윤석열 주변 수사 가속… ‘스폰서 의혹’ 윤우진 자택 압수수색
- 윤석열측 “‘고발사주’ 아니라 ‘제보사주’”… 與 “엉터리 삼류 정치소설”
- 공정위, 김범수 정조준… “금산분리 위반 조사중”
- 文대통령 19∼23일 방미… 유엔 총회서 연설
- [단독]金총리 오늘 이재용 만난다… 삼성 SW아카데미 방문
- 北, 연이틀 신형 순항미사일 발사… 우리軍 이번에도 탐지 못했다
- “전북출신 정세균 영향력 어디로 향할지… 호남경선 예측 불허”